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美국방수권법 서명…‘주한미군 현수준 유지’

과도한 방위비 분담요구 경계·대북제재 강화 조항 실려

/연합뉴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주한미군 규모를 현행 수준으로 유지하는 조항을 담은 2020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에 서명했다.

사흘 전 상원을 통과한 NDAA는 국방예산의 근거가 되는 법으로, 동맹에 과도한 방위비 분담 요구를 경계하는 조항과 대북제재 강화 조항도 포함하고 있다. 7,380억달러 규모의 NDAA에는 우주군 창설을 비롯해 병력 급여 3.1% 인상 및 12주 유급 육아휴가 보장 등이 담겼다.

그는 서명 전 연설에서 “어느 국가도 (미국의 국방력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며 “7,380억달러는 우리 군에 대한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임을 강조했다. 이어 “나의 서명으로 여러분은 우주군의 창설을 보게 될 것이고 이는 엄청난 순간”이라며 “미국의 국가안보에 대한 대단한 위협 속에서 우주에서의 미국의 우위는 대단히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우주군은 우주사령부 존 레이먼드 사령관이 이끌게 될 예정이다. AP통신에 따르면 우주군은 공군장군의 관리하에 초기 규모는 200명, 첫해 예산은 4,000만달러로 책정됐다. 또한 미 육군의 경우 48만명의 장병에 예산은 1,810억달러다.

관련기사



2020회계년도 NDAA는 주한미군 규모를 현행 2만8,500명보다 줄이기 위한 예산을 편성하지 못하게 하는 조항을 포함한다. 감축이 미국의 안보 이익에 부합하고 한국과 일본 등 동맹과 협의가 될 경우는 예외로 뒀지만,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주한미군 감축 카드가 동원될 가능성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NDAA는 미군 주둔과 관련, 한국과 일본의 직·간접 기여 등에 대한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토록 하고 이전보다 과도한 인상 요구를 경계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북한과 거래하는 개인 및 금융기관에 대한 제재를 의무화해 대북제재를 강화하는 조항도 포함됐다. 북한에 억류됐다 숨진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이름을 따 ‘웜비어법’으로 불리던 법안의 핵심 골자가 NDAA에 포함된 것이다.

서명식은 워싱턴DC 근교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이뤄졌으며, 서명식에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 마크 밀리 합참의장 등이 참석했다.


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