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美해상초계기까지 투입 감시 강화…연일 정찰기 출동

북한이 예고한 ‘성탄 선물’ 도발이 실행되지 않았지만 미군은 정찰기 등을 연일 한반도에 투입,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 공군 정찰기에 이어 미 해군 해상초계기도 남한 상공을 비행했다.

27일 민간항공추적 사이트 ‘에어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 해군 해상초계기 P-3C가 전날 밤 11시께 남한 상공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P-3C는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징후를 포착하기 위해 잠수함 기지와 잠수함의 동향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해상초계기는 일반적으로 잠수함 탐색 임무를 수행하지만, 연안 지상 목표물에 대한 감시 기능도 갖고 있다.


미군은 최근 정찰기의 한반도 작전을 대폭 늘리며 대북 감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전날에는 미 공군 코브라볼(RC-135S) 2대의 동해 상공 비행이 포착됐다. 2대가 교대로 동해 상공을 비행했다. RC-135S는 최첨단 전자광학 장비로 원거리에서 탄도미사일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는 정찰기로 이번 출격에서 SLBM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북한 잠수함 기지를 정찰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E-8C 조인트 스타즈(J-STARS)도 전날 한반도 3만1천 피트(9.4㎞) 상공에서 포착됐다. 통합 감시 및 목표공격 레이더 시스템 등을 탑재한 E-8C는 고도 9∼12㎞ 상공에서 북한의 미사일 기지, 야전군의 기동, 해안포 및 장사정포 기지 등 지상 병력과 장비 움직임을 정밀 감시할 수 있다. 한번 비행하면 9∼11시간가량 체공할 수 있고, 항속거리는 9,270㎞에 이른다. 성탄절 당일에는 리벳 조인트(RC-135W), E-8C 조인트 스타즈(J-STARS), RQ-4 글로벌호크, 코브라볼(RC-135S) 등이 동시에 한반도와 동해 상공으로 출동하기도 했다.

미군의 정찰 비행 강화는 북한을 향해 ‘지켜보고 있다’는 군사적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미군이 대북 경고를 위해 의도적으로 위치식별장치를 켜놓은 채 비행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반적으로 군용기는 식별장치를 꺼놓고 비행해 항적이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