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동부(돈바스) 지역 분리주의 반군이 2년 만에 최대 규모의 포로를 맞교환했다. 정부군과 반군이 분쟁해결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자치권 문제가 난제로 남아 있는 만큼 양측이 평화협정을 이행하기까지는 난관이 여전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은 29일(현지시간) 반군이 통제 중인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도시 고를로프카 외곽 검문소에서 포로를 맞교환했다. 우크라이나 정부군이 124명을 반군 측에 넘겨줬고 반군은 76명의 우크라이나인을 석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7년 12월 반군 233명, 우크라이나인 73명이 맞교환된 후 2년 만에 최대 규모다.
이번 포로교환은 앞서 9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의 ‘노르망디 형식회담’을 계기로 성사됐다. 이는 2014년 6월 프랑스 노르망디 상륙작전 70주년 기념식에서 회동한 이들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분쟁을 논의한 데서 비롯된 회담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올해 말까지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의 완전하고 전면적인 휴전을 이행하고 양측의 무력분쟁 과정에서 발생한 포로들의 추가적 교환에 합의했다.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은 5년 넘게 계속돼왔다. 2014년 3월 우크라이나에 속했던 크림반도가 러시아에 병합된 뒤 돈바스 지역의 친러 분리주의 세력은 독립을 선언하고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반군이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정부군과 교전을 거듭하면서 지금까지 1만4,000명 이상이 숨지고 100만명의 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5년 2월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양측이 중화기 철수, 러시아와의 국경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통제 회복, 돈바스 자치 확대와 지방선거 실시 등을 규정한 ‘민스크협정’에 서명했으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었다. 갈등해소의 실마리는 젤렌스키 대통령 당선 이후 잡혔다. 돈바스 분쟁 해결을 공언한 젤렌스키 대통령이 올해 4월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이 2016년 이후 3년 만에 회동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하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이 돈바스의 지방선거 시행과 영구적인 자치 보장을 주장하는 러시아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민스크협정의 완전한 이행은 쉽지 않다는 관측도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문가들은 양측 간 이견 정도에 따라 평화협정 이행이 극도로 어려워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