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중국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이제 지구촌 전체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감염자가 급속히 증가하며 전 세계 확진자 수는 15만명에 육박했고 사망자도 5,000명을 넘어섰다. 전염병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자 그동안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에 미적댔던 세계보건기구(WHO)도 어쩔 수 없이 항복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미국은 자국민 보호를 위해 유럽인 입국금지라는 사상 초유의 강경책을 꺼내 들었고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는 산유국 간 석유전쟁을 초래하기도 했다. 최근 글로벌 증시가 대공황을 우려할 만큼 대폭락한 것은 코로나19가 단순한 전염병을 뛰어넘어 글로벌 금융시장과 경제를 그동안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수렁으로 빠뜨릴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했기 때문이다.
사실 이전에 수차례 겪었던 금융위기는 양적완화나 재정 확대, 금리 인하 등으로 조기 진화가 가능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공급망이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이전과 같은 금융정책이나 재정정책만으로 조기에 진화하기 힘든 이유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는 실물경제에 대한 직접적 충격으로 이어지며 생산·소비·수출·투자에 심대한 타격을 주고 있다. 2월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기준치 50과 사전 예상치 45보다 훨씬 낮은 35.7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생산설비 가동이 중단되면서 생산이 크게 위축된 결과다. 제조업 PMI도 29.6으로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생산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이것이 다시 소비나 수출·투자로 이어지는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소비·생산·수출 등 실물 분야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민들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꺼려 경제활동을 줄이고 심리적 불안감 확대로 소비도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2월 국내 생산은 대폭 감소했을 것이며 소비도 1월에 비해 약 30%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월 수출 역시 전년과 비교할 때 일 평균 11.7%로 감소했다. 물론 메르스나 사스 때는 상황이 종료되면서 소비가 일시적으로 대폭 증가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코로나19는 언제 종식될지 가늠하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코로나19에 제대로 대응하려면 무엇보다 국제공조가 절실하다. 전염병이 얼마나 지속되느냐에 따라 전 세계의 성장률 전망 등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각국이 성공적인 방역사례나 방법, 출입국 방식, 의료장비 등에서 공조해 하루 빨리 이 사태를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경제를 회복시키는 최상의 방법 역시 코로나19의 지속기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정부는 보건 및 방역·의료 관련 분야에 초점을 두고 예산 등을 집행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이번 사태를 빠르게 진정시킨다면 소비나 투자는 일시적 오버슈팅 후 본궤도에 진입할 수 있다.
현재도 병실이나 병상 같은 의료시설이나 열 감지기, 방호복 같은 제품·장비 등이 모자라는 상황이다. 민간에서도 마스크·체온계 등이 태부족하다. 정부는 이러한 곳에 예산을 최대한 지출해야 한다. 또 급격히 얼어붙은 소비에 대응하기 위해 코로나19 지속기간 내에 비대면·온라인 등 실제 소비할 수 있는 채널을 단기간에 만들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사회재난을 빨리 종식시킨다면 우리 경제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물경제와 금융이 받는 충격도 흡수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