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軍 수송기로 코로나 방역물자 들여온다

수술용 가운 8만벌 상업운송 첫 투입

18일 미얀마로 2대 출발, 19일 한국 도착 예정

지난 2018년 11월 인도네시아 지진 피해 구호를 위해 파견됐던 C-130 수송기가 물자를 싣고 있다. C-130 수송기는 이번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물자 수송을 위해 18일 오전 미얀마로 출발했다.    /사진제공=공군지난 2018년 11월 인도네시아 지진 피해 구호를 위해 파견됐던 C-130 수송기가 물자를 싣고 있다. C-130 수송기는 이번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물자 수송을 위해 18일 오전 미얀마로 출발했다. /사진제공=공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물자 수입에 군 항공기가 투입됐다. 국방부는 방역물자 해외운송을 위해 미얀마로 공군 수송기 ‘C-130J’ 2대를 급히 보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공군 수송기 지원은 보건복지부가 미얀마로부터 국가비축 방역물자 수입을 1주일 앞둔 지난 9일 국적기(대한항공) 운항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우리 군 수송기가 해외 민간물자 운송 임무에 투입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18일 오전 김해공항을 출발한 공군 C-130J는 물자를 싣고 19일 새벽 한국에 도착한다”고 말했다. 태국 방콕을 경유한 민간 항공기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민간 항공기로 방역물자를 들여오면 최소 2주가량이 걸린다. 미얀마에서 들여오는 물자는 수술용 가운 8만벌이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대구·경북 지역을 포함한 전국 의료시설에 보급된다.



이번 군 수송기를 통한 해외물자 운송 과정은 예상보다 어려움이 많았다. 미얀마 정부가 한국인 입국금지 조치를 내려 수송기 승무원들이 입국제한을 받게 됐다. 이에 미얀마로 가는 C-130J 조종사와 승무원 모두 코로나19 음성진단서를 제출하고 현지 비행장 내에서만 임무 수행을 한다는 조건으로 입국한다.

미얀마 통관절차와 관련해 군 수송기에 의한 상업물자 수출은 전례가 없다. 이 때문에 12일 세계보건기구(WHO)가 감염병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하는 등 악화된 상황에서 미얀마 외교부·항공청·세관 등과 막판까지 긴장감 속에 협의를 진행했다. 이번에 임무를 총괄하는 이덕희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항공작전전대장(대령 진)은 “무박 2일의 강행군이지만 의료 현장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니 피로감을 못 느낀다”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