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K방역 발굴한다” KT, 포스트코로나 AI 챌린지 개최

‘유입예측 알고리즘 모델링’, ‘앱 서비스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2가지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한국정보진흥원장 등 수여

KT 포스트 코로나 AI 챌린지 공모전 포스터/사진제공=KTKT 포스트 코로나 AI 챌린지 공모전 포스터/사진제공=KT


KT(030200)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함께 감염병 대응 공모전 ‘포스트코로나 인공지능(AI) 챌린지’를 6일부터 개최한다고 밝혔다. AI를 통해 감염병 확산를 막을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열린다.

포스트코로나 AI 챌린지는 ‘유입예측 알고리즘 모델링’, ‘앱 서비스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등 2가지 분야로 진행한다.

유입예측 알고리즘 모델링은 해외의 감염병이 국내로 유입될 위험도를 산출해 모형을 만드는 것이다. 국가별 혹은 일자별 유입되는 확진자 수를 예측해야 한다. KT는 지원자들에게 전 세계 질병 관련 뉴스데이터와 가입자 로밍 통계 데이터를 제공한다.


앱 서비스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분야 참가자는 AI를 활용해 감염병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에 기여하는 서비스를 발굴해야 한다.



이번 공모전은 AI 및 감염병 확산 방지에 관심이 있는 개인과 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접수 기간은 이번 달 6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다. 공모전 신청 및 상세한 내용은 한국정보화진흥원 인공지능 허브(AI Hub)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총상금 1억원으로 유입예측 알고리즘 모델링 부문 10팀, 앱 서비스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부문 20팀을 선정하며 본선과 결선을 거쳐 5월 22일 최종 순위를 발표할 예정이다. 수상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한국정보진흥원장상 등을 받는다.

우수 알고리즘 모델링 아이디어는 KT의 감염병 확산 방지 플랫폼 (GEPP·Global Epidemic Prevention Platform)의 기능 고도화에 활용될 예정이며, 최우수 앱 서비스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는 KT가 개발 및 상용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전홍범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부사장은 “KT는 선도적으로 2016년부터 정부와 AI와 빅데이터를 통한 감염병 확산 방지를 시도해 왔다”며, “이번 공모전에서 나온 다양한 아이디어로 대한민국 AI 기술이 K-방역의 중심축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