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17일 한국의 방역 모델을 ‘K-방역’이라고 부르며 이를 세계와 공유할 다양한 방법을 찾으라고 외교부에 주문했지만 외교부는 “당장의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단과 만나 ‘정 총리 K-방역 홍보 방안을 찾아보라는 지시를 내린 데 대해 준비된 것이 있느냐’는 질문에 “당장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실제 이날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에도 관련 대책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
이 당국자는 다만 “많은 나라가 (코로나19 관련) 한국의 노하우를 요청하고 있어서 웹 세미나를 여는 등의 노력은 하고 있다”며 “교역과 인도적 지원 사례가 많아서 그런 방식으로 해외 국가들과 협조하지 않을까 싶다”고만 말했다.
정 총리는 앞서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우리의 방역 모델에 대해 전세계가 관심을 갖고 주목하고 있다”며 “광범위한 진단검사로 조기에 환자를 찾아내서 지역사회로부터 격리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역학조사를 통해 확진자의 접촉경로를 밝혀내 투명하게 공개하는 전략이 대표적인 K-방역 모델”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정확도 높은 진단키트, 대면접촉을 최소화하는 드라이브 스루와 워크 스루 검사, 시민의 자발적 참여와 협조를 바탕으로 한 자가진단 앱 활용, 병상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생활치료센터 도입, 질서 정연했던 전국단위 선거방역 등은 개발도상국뿐 아니라 선진국들까지도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고 있다”며 “외교부에서는 우리의 K-방역 모델을 세계와 공유하는 다양한 방안을 추진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외교부의 반응을 비춰볼 때 K-방역 홍보 주문은 외교부와 사전 논의된 것이 아닌 정 총리의 즉각적인 지시였던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외교부는 이날 이란과의 인도적 교역 재개를 위해 대한상공회의소, 코트라(KOTRA)와 함께 한국 기업 대상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설명회에는 진단키트 등 코로나19 장비 업체들과 당뇨병 치료제, 항암제, 체온계 등을 생산하는 업체 등 27개사가 참석할 예정이다.
이 당국자는 이란과의 인도적 교역에 대한 미국의 입장이 “적극 독려하는 입장으로 바뀌었다”고 소개했다. 미국의 이란 제재 강화로 지난해 9월부터는 한국기업의 인도적 물품 수출길까지 막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