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더블헤더에 월요일도 경기...선수층 두꺼운 팀이 대권 쥔다

■프로야구 내달 5일 개막

개막 한달이나 늦어졌지만

기존 144경기 체제 유지키로

선수층 얇은 팀 과부하 예상

"경기 질 떨어질라" 우려도

LG 트윈스 김현수(왼쪽)가 21일 두산 베어스와의 KBO리그 연습경기에서 1회 말 홈을 밟은 뒤 더그아웃으로 들어가며 동료들의 축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LG 트윈스 김현수(왼쪽)가 21일 두산 베어스와의 KBO리그 연습경기에서 1회 말 홈을 밟은 뒤 더그아웃으로 들어가며 동료들의 축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공식적인 ‘야구의 봄’이 오는 5월5일 찾아온다.

KBO는 21일 이사회를 통해 2020 정규시즌 개막일을 어린이날인 5월5일로 확정했다. 개막 초반에는 무관중으로 치르다가 추후 관중석의 10·20·50%씩 입장을 단계적으로 허용하기로 했다. 몇몇 구단은 5월1일 개막을 희망했지만 선수단의 컨디션 조절과 개막 준비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에 5일로 결정했다. ‘11월2일 정규시즌 종료-11월4일 포스트시즌 시작-11월28일 한국시리즈 마감(7차전까지 갈 경우)’이 KBO가 생각하는 최상의 시나리오다. 11월15일 이후의 포스트시즌 경기는 추위를 피해 실내구장인 고척돔에서만 치른다.


지난 3월28일 정규시즌을 시작하려던 KBO리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개막이 무기한 연기됐다. 최근 들어 신규 확진자 발생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한미일 프로야구 중 가장 먼저 ‘플레이볼’을 선언하게 됐다.



이사회 전부터 5월5일 또는 1일 개막이 기정사실로 알려진 가운데 관건은 144경기 체제 유지 여부였다. 현장에서는 팀당 144경기 강행은 무리라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지만 KBO는 일단 경기 수는 줄이지 않기로 했다. 다만 선수단 중에 확진자가 나올 경우 3주간 리그 중단에 이어 경기 수를 줄이는 방안을 논의한다. KBO는 144경기 유지를 위해 올스타전을 취소했고 5전3승제의 준플레이오프를 3전2승으로 줄였다. 우천취소 경기가 나오면 더블헤더(하루 두 경기)를 진행하거나 휴식일인 월요일에도 경기한다. 체력적 부담을 그나마 덜 주기 위해 7·8월 혹서기에는 더블헤더를 치르지 않고 더블헤더와 월요 경기 때는 연장전을 없애기로 했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부담은 여전한 분위기다. 김태형 두산 감독은 이날 LG와의 연습경기를 앞두고 “현재 선수층으로 144경기를 모두 치르기에는 무리다. 재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염경엽 SK 감독도 자칫 경기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144경기 강행에 분명한 반대 의견을 드러냈다.

경기 수가 이대로 유지된다면 선수층의 두꺼운 정도인 ‘뎁스’가 우승 판도를 결정할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선수층이 얇은 팀은 주전 라인업에 어느 때보다 과부하가 일찍 걸릴 수밖에 없어 체력 부담이 커지는 여름을 전후로 벼랑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 최악의 경우 상당수 팀이 사실상 시즌을 포기하는 일이 일어나지 말라는 법도 없다. 반면 선수층이 두꺼운 팀은 어느 시즌보다 금세 치고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KBO는 10개 구단 체제가 시작된 2015년부터 팀당 144경기 체제를 도입했다. 이후 한국시리즈 우승은 두산이 세 차례(2015·2016·2019년), KIA(2017년)와 SK(2018년)가 각각 한 차례씩 차지했다.


양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