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 한국 영화 산업 매출이 지난해 대비 최대 70% 급감하고, 2만 명 이상의 종사자들이 고용불안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영화진흥위원회는 12일 ‘코로나19 충격:한국 영화산업 현황과 전망’ 보고서에 이같이 밝히며 “내년까지 영화 산업 각 부문에서의 덜컹거림이 발견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진위가 코로나19로 인한 영화제작 현장 피해 규모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설문에 응한 82개 작품 중 절반인 42편(51.3%)는 제작단계에서 연기·중단·취소 결정을 내린 상태다. 이에 따른 피해 총액(1∼4월 기준)은 213억 8,993만 원이며 최대 피해액은 33억 3,000만 원에 달했다.
영화의 제작·배급·상영 등이 차질을 빚으며 관련 인력도 고용 불안에 내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1~4월 제작 현장에서는 총 413명의 고용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됐으며, 이 중 186명은 고용 ‘연기’가 아닌 ‘취소’였다.
매출과 고용의 올 한해 연간 전망 역시 암울하기만 하다. 영진위가 올 한해 영화 시장 매출을 추산한 결과 △전국 관객 수가 5월부터 점차 증가해 지난해 연간 관객 수의 80%까지 회복된다는 가정 하에서는 극장 매출이 지난해 1조 1,866억 원(62%) 줄어든 7,273억 원 수준인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관객 수가 회복과 침체를 거듭해 작년의 50% 정도에 그친다는 시나리오에서는 지난해보다 무료 1조3,972억 원(73%) 급감한 5,167억 원에 머물 것이라는 추산이 나왔다.
극장 매출 감소에 따른 고용 한파도 심각하게 우려되는 상황이다. 극장 매출 감소액에 한국은행의 영화산업 취업유발계수를 적용한 결과 전체 영화산업종사자 약 3만 878명 가운데 2만 명 이상(2만 1,596~2만 5,429명)이 고용불안 위험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유발계수란 매출(소비·투자·정부 지출 등에 따른 최종 수요)이 10억 원 발생할 때 산업별로 늘어나는 전체 취업자 수를 산정한 수치로, 영화산업 취업유발계수는 18.2명이다. 극장 매출이 10억 원 증가할 경우 취업자 수는 18.2명 늘어난다는 의미다. 이번 고용 감소 추산은 이 취업유발계수를 감소액에 역으로 적용해 산출했다.
영진위는 “올해 상당수의 한국영화는 일정 기간 제작이 지연됐고 거의 대부분의 미국 영화가 앞으로 석 달간은 제작 재개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며 “대부분의 필름마켓도 제대로 열릴 수 없는 작금의 상황에서 올 한해 그리고 어쩌면 내년까지의 영화산업은 제작-배급-상영의 각 부문에서 덜컹거림이 발견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