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였던 고(故) 김복동 할머니의 조의금 등으로 구성된 ‘김복동 장학금’을 시민 사회단체 활동가의 자녀들이 받은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해당 비영리법인은 연간 주요활동 계획에 없는 데도 이 사업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법인은 홈페이지에 관련 공고로만 새로운 사업을 시작한다는 사실을 알렸다.
18일 이 장학금을 운영하는 ‘김복동의 희망’ 홈페이지에 나타난 ‘2019년 주요활동 계획’에는 지난해 사업으로 남·북·재일동포 청소년·청년 장학사업과 교육사업, 남·북·재일동포 교류 및 연대사업, 재일동포 차별 철폐 연대사업 등을 적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희망장학금’ 소개를 보면 ‘각 지역 재일조선고급학교 10개교를 대상으로 학생들을 선발하여 연 1회, 1명당 250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한다’고만 나와 있다. 반면 시민활동가 자녀를 대상으로 한 장학금 사업은 당초 계획에 빠져 있다. 다만 희망측은 지난해 2월 별도의 공고를 통해 시민활동가 자녀를 대상으로 한 장학금 사업 계획을 밝혔다.
당초 김복동 장학금은 김 할머니가 2016년 사비 5,000만원을 들여 재일조선학교 학생들을 위해 써달라며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현 정의연) 측에 전달해 시작됐다. 이후 김 할머니 장례식에서 모인 조의금을 활용해 평소 인권·평화 운동에 신경을 많이 쓴 고인의 뜻을 받들어 장학금을 확대 개편했다는 게 정의연의 설명이다.
하지만 고인의 뜻과는 달리 재일조선인보다는 시민활동가 자녀에게 수혜가 집중된 것을 두고 당초 장학금 취지를 훼손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희망측은 지난해에는 25명의 시민활동가 자녀들에게 총 5,000만원을, 올해엔 10명의 자녀들에게 총 2,000만원을 지급했다. 반면 지난해에는 재일조선학교 학생 9명에게 총 225만엔(약 2,590만원), 올해는 10명에게 총 250만엔(약 2,874만 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총액 기준으로 시민활동가 자녀가 재일조선학교 학생보다 약 1,500만원 가량 더 많이 받게 되는 셈이다.
이에 대해 희망 측은 “(2019년 당시 10명의 자녀에게만 장학금을 주려고 했지만) 시민활동가 장학금에 2,000만원의 지정기부가 들어와 더 많은 지원을 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