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손정의의 날개없는 추락에.. ARM이 가속도 붙이나?

손정의 '공유경제' 모델 사실상 실패.. 대규모 손실로 '손정의 신화' 무너져내려

320억 달러 주고 인수한 '팹리스의 팹리스' ARM 성장세도 물음표

스마트폰 시장 정체, ISA 판매 기반의 낮은 이익구조 때문

2023년 ARM 재상장 꿈꾸지만 4년전 몸값 받을 수 있을지도 의문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업체의 팹리스’라고 불리는 영국 ARM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의 바람대로 IT업계의 ‘또 다른 인텔’이 될 수 있을까. 업계에서는 스마트폰 시장 성장 정체와 ARM의 지적재산권(IP) 관련 수익 창출 어려움, 5G와 같은 IT 생태계 인프라의 더딘 구축 속도 등으로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비전펀드의 막대한 손실에 타격을 입은 손정의 회장 경영 행보에 ARM의 부진까지 더해질 경우 사실상 ‘손정의 신화’가 끝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31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소프트뱅크는 오는 2023년 ARM 홀딩스의 상장을 계획중이다. 소프트뱅크는 지난 2016년 320억 달러(약 39조4,000억원)에 ARM 홀딩스 지분 100%를 인수한 바 있다. ARM홀딩스의 2017년 매출은 1,524억엔(약 1조7,413억원) 이며 영업이익은 243억엔(약 2,776억원) 수준이다. 손 회장이 인수 당시 “바둑으로 치면 50수 앞을 내다보고 인생 최대의 베팅을 했다”며 ARM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지만 ARM 연간 영업이익의 140배 가량이 넘는 몸값을 지불했다는 점에서 ‘거품 논란’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업계에서는 ARM이 향후에도 큰 이익을 내기 어렵다는 평가를 내놓는다. 일반 팹리스들이 반도체 설계도를 직접 팔거나 위탁 생산해 유통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낸다면 ARM은 반도체 설계의 기본이 되는 ‘명령어집합체(Instruction Set Architecture·ISA)’를 판매해 수익을 낸다. 퀄컴, 엔비디아 등 여타 팹리스 업체 대비 수익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물론 지난 10여년이 낮은 전력 소모만으로 구동가능한 저전력 반도체의 중요성이 중요해진 ‘스마트폰 시대’ 였다는 점에서 ARM에게는 이카루스와 같은 ‘비상’의 시기였다. 서버와 PC 시장에서 최고 수준의 중앙처리장치(CPU)를 만들어냈던 인텔은 모바일 시대의 ‘저전력’ 흐름을 따라가지 못했다. 반면 저전력 반도체에 초점을 맞췄던 ARM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에 탑재되는 CPU의 코어디자인을 애플, 삼성전자(005930), 퀄컴 등에 판매하며 수익을 끌어 올렸다. 현재 낮은 성능으로 삼성전자 등 주요 고객사로부터 외면받고 있긴 하지만 그래픽처리장치(GPU) ‘말리’ 또한 수익 증대에 상당부분 일조했다. ARM은 또 고성능 코어와 저전력 코어를 함께 탑재하는 방식으로 전력과 성능 문제를 한번에 해결한 ‘빅리틀’ 솔루션으로 모바일 시장의 입지를 한층 강화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문제는 ARM이 메인프레임, 서버, 노트북 관련 반도체 시장에서는 거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관련 시장은 클라우드 시장 확대로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반면 스마트폰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한데다 최근 코로나19로 추가적인 시장 축소가 예상된다. ARM의 매출 감소가 우려되는 부분이다. 삼성전자는 ARM의 말리를 쓰는 대신 AMD와 손잡고 자체 GPU 개발에 나서고 있는 등 ARM의 입지가 예전만 못한 것도 숙제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ARM의 GPU 성능 문제로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S20’의 국내향 제품에 자사 AP인 ‘엑시노스990’이 아닌 퀄컴의 ‘스냅드래곤865’를 탑재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ARM의 매출이 제자리 걸음을 하는 것은 중국의 팹리스들이 ARM에 로열티를 제대로 지급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손 회장이 2023년 ARM의 재상장을 추진 중이지만 본인이 4년전 지불한 320억달러 이상의 몸값을 받을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일본 도쿄 소프트뱅크 사무실 앞에 세워진 기업 로고 /EPA연합뉴스일본 도쿄 소프트뱅크 사무실 앞에 세워진 기업 로고 /EPA연합뉴스


손정의 회장이 추구했던 공유경제 모델이 위워크, 우버 등의 가치 하락으로 큰 타격을 입은 가운데 ARM의 가치 마저 떨어질 경우 ‘손정의 신화’는 순식간에 꺼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소프트뱅크가 2019년 회계연도(2019년 4월~2020년 3월)에 기록한 9,615억 엔(약 11조원)의 손실 만회를 위해 미국 내 3위 통신업체인 티모바일 지분을 도이치 텔레콤에 매각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는 등 소프트뱅크를 둘러싼 상황은 좋지않다. 손정의 회장은 티모바일과 스프린트 합병을 발판 삼아 미국내 5G 생태계 구축을 위한 막대한 투자를 계획했지만 티모바일 지분 매각시 관련 비전은 몽상으로 끝날 전망이다.

5G 생태계가 구축되지 않으면 자율주행차 시장 성장도 더디게 진행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손 회장의 ‘50수를 내다본 투자’ 또한 ‘악수(惡手)’될 가능성이 높다. 자율주행차는 스마트폰의 몇십배에 달하는 반도체가 탑재될 전망이며 손 회장 또한 이를 노리고 ARM에 막대한 투자를 단행했기 때문이다. 현재 자율주행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는 테슬라는 기존 자율주행시스템에는 모빌아이나 엔비디아의 제품을 썼지만 ‘HW3’부터는 삼성전자와 손잡고 자체 생산한 반도체를 탑재중이다. ARM이 공략 하려던 미래차 반도체 시장 또한 신흥 강자의 등장으로 수익을 내기 힘들어진 셈이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