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해방촌은 한국전쟁 후 실향민과 이주민이 서울역과 가까운 남산에 모여들면서 형성된 동네다. 1970~1980년대에는 각종 의류공장이 들어서며 활기를 띄었지만 이후 공장이 교외로 이전하고 인구가 감소하자 주거환경도 열악해졌다. 하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해방촌의 매력에 빠진 젊은 예술가와 상인, 외국인들이 모여 들면서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지난 2016년부터 시작된 서울시의 ‘해방촌 도시재생사업’이 변화를 가속화했다. 마을의 주요 자산을 잇는 보행길의 낡은 계단과 보도가 정비되고 시설 노후화로 어려움에 놓인 시장에도 새롭게 시설이 들어섰다.
시는 해방촌을 비롯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8곳의 주거재생 선도·시범사업을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다. 전면철거 대신 고쳐서 다시 쓰는 ‘서울형 도시재생’은 창신·숭인·해방촌·가리봉·성수·신촌·장위·암사·상도 8개 지역에서 진행 중이다. 이들 8곳의 전체 192개 사업 가운데 82.3%인 158개 사업이 완료됐고 나머지 34개 사업도 올 연말까지 완료를 목표로 막바지 작업 중이다.
지난 5년 간 20개 앵커시설이 문을 열었다. 아이돌봄, 마을카페, 도서관, 운동시설, 경로당 등 마을의 다목적 활동공간이자 지역주민 간 공동체 회복 거점으로 자리했다. 골목길과 계단, 하수도 등 노후 도시기반시설을 대대적으로 정비·확충해 주민들의 정주여건도 크게 개선됐다. 개별 집수리와 골목길 정비를 병행하는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인 가꿈주택 사업은 8개 지역에서 200건이 추진됐다.
지난 2017년 5월 설립된 창신숭인 도시재생협동조합을 시작으로 해방촌·암사·상도 등 4곳에서 도시재생기업(CRC) 8개가 문을 열었다. 시는 사업 종료 이후에도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후속 관리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영세 시 주거재생과 팀장은 “도시재생사업은 주민들이 중심이 돼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에 출발한다”며 “시는 지난 5년 간 마중물 사업을 통해 확보한 자생력을 토대로 앞으로도 주민 스스로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이지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