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24일 미국의 자국 총영사관 폐쇄에 대한 보복 대상으로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을 선택한 것은 중국 나름대로 상황을 관리하고 확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동등보복’이라는 명분을 내세우면서도 그동안 중국에도 ‘눈엣가시’인 청두 총영사관을 제거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 입장에서는 중국의 불법행위가 불만인 만큼 추가 제재에 나설 여지가 있어 당분간 양국 간 확전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중국 외교부는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을 폐쇄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중국의 이번 조치는 미국의 비이성적인 행위에 대한 정당하고 필요한 대응”이라며 “이는 국제법과 국제관계 기본준칙, 외교관례에도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청두는 중국에서도 변방인 쓰촨성에 있어 중국 내 5개 미국 총영사관 중에서 교민 수라든지 중요도가 떨어지는 곳이다. 리하이둥 중국 외교학원 국제관계연구소 교수는 환구시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을 선택한 것은 미국이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을 선택한 것과 같은 이유”라며 “중국은 이를 통해 아직 이견을 조율할 의사가 있다는 뜻을 내포한다”고 설명했다.
표면적으로는 맞대응이지만 중국의 속내는 따로 있다는 관측이다. 그동안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은 중국에는 ‘눈엣가시’였다. 청두 총영사관의 관할은 쓰촨성·윈난성·구이저우성·충칭시와 함께 시짱자치구(티베트)·신장위구르자치구도 포함한다. 미국이 추진하는 티베트와 신장위구르 인권법의 실무를 담당하는 요충지역이다. 중국이 미국 등 서방에 대해 비난하는 ‘내정간섭’의 전진기지가 청두 총영사관인 것이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은 사실상 신장·티베트 문제 등에서 중국을 찌르는 곳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전했다.
게다가 이곳은 시진핑 국가주석에게도 최대 정적이었던 보시라이와의 악몽으로 기억되는 곳이다. 2012년 보시라이 당시 충칭시 서기의 측근이었던 왕리쥔 충칭시 공안국장이 보시라이와의 다툼으로 신변의 위협을 느끼고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으로 뛰어들어 망명을 요청했다. 이때 왕 국장은 미국 직원들에게 보시라이의 범죄 증거를 제시했다고 한다. 그의 망명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그가 총영사관에 머물던 30여시간 미국과 중국은 충돌 일보 직전까지 갔었다. 중국으로서는 골칫거리를 해결할 빌미를 잡은 셈이다.
관건은 미국의 대응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미국 내 중국 공관의 추가 폐쇄에 대해 “언제나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의 이날 발언은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의 폐쇄 요구에 이어 미국 내 중국 공관의 추가 폐쇄 조치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열어두며 중국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럴 경우 중국 또한 미국의 추가 제재가 나올 경우 동등한 수준의 보복조치를 단행할 가능성이 커 한 치 앞을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는 트럼프의 재선을 위한 대외적 제스처라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미 무역대표부(USTR) 중국 담당 대표보를 지낸 제프 문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지식재산권 절취가 진짜 이유라면 미국은 실리콘밸리를 관장하는 샌프란시스코의 중국 총영사관을 폐쇄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이 미국 총영사관 폐쇄라는 보복에 실제 나서면서 미국도 추가 조치에 나서야 할지 갈림길에 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영사관 폐쇄는 국교 단절 직전 단계에서 벌어지는 아주 강력한 외교적 조치다. 미중 양국은 무역전쟁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책임론, 남중국해 영토분쟁, 신장·티베트 인권 문제, 대만 문제, 화웨이 제재 등 전방위로 격돌하고 있다. 대선을 3개월여 남겨둔 트럼프로서도 중국과의 갈등 확산은 재선 판도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