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현 삼성전자 상임고문(전 종합기술원 회장)은 삼성이 반도체 분야에서 기술 초격차를 유지하는 동력은 최고경영자의 과감한 결단과 리더십이라고 28일 강조했다.
권 고문은 이날 삼성전자 사내방송 인터뷰를 통해 “지난 1992년 삼성전자가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1위가 된 데 일익을 담당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삼성전자의 세계 최초 64메가 D램 개발을 이끈 주역인 권 고문은 당시 D램 개발팀장을 맡았다. 이번 인터뷰는 삼성전자가 1992년 세계 첫 64메가 D램 시제품 개발에 성공한 8월1일을 앞두고 이뤄졌다.
권 고문은 “당시 삼성이 반도체 사업을 한다는 자체가 난센스 같은 일이었다”며 “이병철 회장이 반도체 사업을 하겠다고 선언하고 이후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건희 회장이 지속적인 투자를 해서 동력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반도체 사업은 워낙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고 투자 규모가 커서 위험 부담이 큰 비즈니스인데 위험한 순간에 이병철 회장과 이건희 회장의 의사결정이 성공을 가능하게 했다”며 “반도체 사업은 앞으로도 위험한 순간에 과감하게 결정할 수 있는 최고경영자층의 결단과 리더십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권 고문은 “과거 삼성이 일본 반도체 업체들을 추월할 수 있었던 것도 한국의 독특한 기업 문화인 ‘총수 경영’에 따른 경쟁우위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일본 반도체 기업들은 모두 전문경영인 시스템이라 불황기에 과감한 투자를 못한 반면 삼성은 어려운 상황에서 총수의 과감한 결단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권 고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과제로도 최고경영자의 강력한 리더십을 꼽았다. 그는 이재용 부회장이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위에 오른다는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한 것을 언급하며 “과거 경험에 비춰보면 어려운 시기일수록 제일 중요한 것은 강력한 리더십”이라고 말했다. 이어 “순간적으로 빨리빨리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경영인과 최고경영자층이 원활한 소통과 토의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 고문은 또 “전문경영인 입장에서는 사업이 적자를 보거나 업황이 불황인 상황에서 ‘몇조원을 투자하자’고 제안하기가 쉽지 않다”며 “이런 면에서 최고경영자층과 전문경영인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권 고문은 “옛날 연장선 상이 아닌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며 “열심히 노력하는 것 외에 세상의 트렌드를 잘 보고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1985년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원으로 입사한 권 고문은 2011년 DS총괄 사장을 거쳐 2012년 부회장으로 승진한 뒤 대표이사에 올랐다. 2017년 11월에는 전문경영인으로는 유일하게 회장으로 승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