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미국선 개인정보 유출, 이집트선 풍기문란"…'틱톡 논란' A to Z

/AFP연합뉴스/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동영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틱톡’(TikTok)의 미국 내 사용 금지를 천명하면서 틱톡을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으로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틱톡 규제에 나선 가운데 틱톡이 미국에서 어떻게 철수하거나 금지될지를 두고 다양한 추측이 무성하다. 틱톡을 둘러싼 다양한 소식들을 총정리해본다.

1) 틱톡이 뭔가요?
틱톡은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SNS 플랫폼으로 전 세계에서 말 그대로 대(大) 히트를 쳤다. 유행하는 음악에 맞춰 춤을 추거나, 우스꽝스러운 장면을 연출한 영상에 독특한 효과를 줘서 계정에 올리면 친구는 물론 모르는 사람에게도 노출되는 방식이다.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에서 틱톡을 내려받은 누적 횟수는 20억건을 넘어섰으며 150개가 넘는 국가에서 8억명 이상이 틱톡을 사용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인도에서 틱톡을 내려받든 횟수가 5억건으로 가장 많고, 중국 1억8,000만건, 미국 1억3,000만건으로 그 뒤를 따른 것으로 시장조사기관들은 보고 있다. 틱톡은 미국에서 10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어 미국 내 하루 활성 이용자가 8,000만명에 달한다.


2) 미국에서 틱톡은 어떤 상황인가요?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엄포로 틱톡의 운명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틱톡이 미국 내 사업을 전면 매각하기로 했다는 보도가 나온 직후 유력 인수 기업으로 거론된 마이크로소프트(MS)가 철수했다는 전언이 뒤따르는 등 협상 전망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 1일(현지시간)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인터넷기업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을 전면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미국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이후 백악관과 합의점을 찾고자 이같이 결정했다는 것이다.

중국 베이징에서 한 남성이 틱톡을 홍보하는 티셔츠를 입고 있는 모습./AP연합뉴스중국 베이징에서 한 남성이 틱톡을 홍보하는 티셔츠를 입고 있는 모습./AP연합뉴스


로이터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당초 MS와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 협상을 벌이면서 소수지분을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백악관이 이를 거부하면서 바이트댄스는 미국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MS가 이를 인수하는 거래안을 새로 제안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MS가 틱톡 인수 협상을 중단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관계자들은 MS가 틱톡을 인수하는 것이 백악관의 목표에 부합한다고 믿고 협상이 진전된 상태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MS의 틱톡 인수에 부정적인 의사를 나타내면서 MS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고 WSJ에 설명했다. 다만 다른 관계자는 “거래가 무산된 것은 아니”라면서 “거래에 관여하는 경영진 일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마음을 바꿔 거래를 허용하길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3)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을 왜 금지하겠다고 했나요?
이런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겠고 엄포를 놓는 배경에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일(현지시간) 진단했다.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틱톡을 통해 미국인의 정보가 중국 정부 손에 넘어갈 수 있다는 게 미국 정부의 우려다.

관건은 트럼프 행정부가 어떻게 틱톡을 금지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NYT는 ‘국제비상경제권법’으로 틱톡을 차단하는 방법과 틱톡 운영사를 ‘면허 없이 물건을 판매해선 안 되는 기업’에 포함하는 방법 등이 있다고 전했다. 지난 1977년 발효된 국제비상경제권법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국가나 단체, 개인 등을 제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케빈 마이어 틱톡 최고경영자(CEO)./AP연합뉴스케빈 마이어 틱톡 최고경영자(CEO)./AP연합뉴스


미국 정부와 의회는 틱톡이 중국 기업이 만든 앱이라는 점에서 중국 공산당과 연계돼 있다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 중국 기업은 중국이 2017년 6월부터 시행한 사이버보안법에 따라 자료를 중국에 저장해 놓고, 정부 요청이 있으면 이를 제출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NYT는 “중국 국내법상 정부가 기업의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안보에 위협을 가한다고 주장해왔다”며 “화웨이와 ZTE에 대해서도 비슷한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틱톡은 최근 디즈니 출신의 케빈 메이어를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하고, 미국에서 1만명을 추가로 고용하겠다고 밝히는 등 ‘미국 기업’으로 보이고자 노력해왔다.


4) 미국 사회의 반응은 어떤가요?


관련기사



CNN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틱톡 사용을 막을 것이라고 언급한 뒤 틱톡에는 당혹한 이용자들의 반응이 잇따라 쏟아졌다고 전했다.

2만5,000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한 이용자는 틱톡 라이브방송을 통해 “모두가 기겁하고 있다. 만약 (틱톡 사용 금지가) 현실화하면 인스타그램에서 나를 팔로우해달라”고 했다. 틱톡에 12만명의 팔로워가 있는 에마 토비는 “틱톡을 계속 할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도 팔로워들에게 자신의 다른 소셜미디어 계정을 알려줬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고 미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전했다. 틱톡에 3,000만명이 넘는 팔로워를 보유한 19세 가수 베이비 애리얼은 “트럼프가 싫다”고 썼다. 1,000만명 이상의 팔로워가 있는 래리 메리트는 “트럼프가 흑인의 생명보다 틱톡 금지에 더 관심 있다니 흥미롭다”고 꼬집었다. 일부 이용자들은 틱톡 사용이 가능한 나라에서 접속하는 것처럼 우회로를 찾을 방법도 궁리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5) 이번 조치로 이익을 보는 곳도 있나요?


물론 미국 내 틱톡 사용이 금지되면 이에 따른 반사이익을 누리는 이들도 있기 마련이다. CNN은 1일 트럼프 대통령의 틱톡 금지가 ‘빅테크’의 지배력을 더욱 키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페이스북이 새로운 동영상 공유 플랫폼 ‘릴스’(Reels)의 출시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페이스북 산하 인스타그램은 일인당 최대 수십만달러의 현금을 살포하며 틱톡의 인기 크리에이터들을 릴스로 빼내오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릴스는 틱톡과 비슷한 기능을 갖춘 앱으로 8월 초에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동시에 서비스를 시작한다.

인스타그램의 새로운 동영상 공유 SNS ‘릴스’인스타그램의 새로운 동영상 공유 SNS ‘릴스’


페이스북이 공세에 나서자 케빈 메이어 틱톡 CEO는 지난달 29일 회사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릴스를 두고 “자사 앱을 베낀 모방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페이스북이 애국심으로 위장해 미국에서 틱톡의 존재감을 없애려고 한다”며 “이 같은 악의적 공격을 하기보다 공정하고 열린 경쟁에 에너지를 집중하라”고 꼬집었다.

틱톡이 미국 회사에 인수되더라도 빅테크의 영향력 강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CNN은 “미국에서 이 앱이 금지되지 않더라도 현재 가장 인수 가능성이 높은 곳은 마이크로소프트”라며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페이스북에 이어 또다른 빅테크 회사”라고 지적했다.

6) 다른 나라에서는 틱톡을 어떻게 대하고 있나요?
미국 외 다른 나라에서도 틱톡은 말 그대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이집트에선 틱톡으로 유명한 여성들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AP통신에 따르면 이집트 수도 카이로의 경제법원은 지난달 27일 틱톡에서 영향력이 큰 여성 하닌 호삼(20)과 마와다 엘라드흠(22)에게 가족의 가치를 훼손한다는 이유로 각각 징역 2년과 벌금 30만 이집트파운드(약 2,250만원)를 선고했다.

이집트 틱톡 인플루언서인 하닌 호삼(왼쪽)과 마와다 엘라드흠이 틱톡에 출연하고 있는 모습./AFP연합뉴스이집트 틱톡 인플루언서인 하닌 호삼(왼쪽)과 마와다 엘라드흠이 틱톡에 출연하고 있는 모습./AFP연합뉴스


두 여성은 틱톡 동영상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이들이 게시한 영상은 차에서 화장하거나 부엌에서 춤추는 장면, 낯선 사람과 농담하는 모습 등 다양하다. 엘라드흠은 틱톡 ‘팔로워’가 310만명이나 되고 올해 5월 14일 체포됐으며 틱톡 팔로워가 120만명인 호삼은 올해 4월 21일 풍기문란 등의 혐의로 체포됐다. 이 밖에 인도에서도 자국의 주권이나 사람들의 사생활이 침해받고 있다며 지난 6월 틱톡 사용을 금지한 바 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