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문 대통령 '집값 안정' 됐다는데…집값 상승폭 커졌다

KB국민은행 주간주택시장동향 발표

전세가, 2011년 '전세대란' 이후 최대 상승

감정원 통계는 '매매·전세가 상승 둔화'

'정반대 통계' 이유는 표본·조사방법 차이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집값 상승세가 진정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평가했지만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전세가는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 가격은 임대차 3법의 영향으로 지난 2011년 9월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낼 정도로 급등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현재 집값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보기 어렵고 각종 규제로 오히려 불안요소가 큰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13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0.39%)보다 0.14%포인트 높은 0.5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중저가아파트가 몰린 지역의 매매가 상승률이 두드러져 노원구 1.05%, 도봉구 0.88%, 구로구는 0.86%의 변동률을 보였다. ‘내집 마련의 막차’를 타기 위한 실수요가 해당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는 관측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공급확대 계획에 대한 시장 안정화 신호가 확산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서울 전세가는 9년 만에 최대폭으로 올랐다. 서울 전세가는 0.41% 상승해 전주(0.21%)보다 2배가량 급등했다. ‘전세대란’ 논란이 일었던 2011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지역별로 보면 금천구(0.87%), 송파구(0.84%), 강남구(0.61%)와 중구(0.61%) 등의 오름세가 눈에 띄었다. 고가·중저가 지역을 가리지 않고 서울 전역의 전셋값이 뛴 셈이다. 임대차 3법을 비롯해 재건축 조합원에 대한 ‘2년 의무거주’ 요건 등 각종 규제로 시장에서 전세 물량이 사라지며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련기사



이 같은 전세·매매가의 동반 상승은 수도권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났다. 경기 지역의 전세와 매매가 변동률은 각각 0.21%와 0.30%를 기록했는데 모두 지난주보다 크게 오른 수치다. 전세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수원 영통구로 0.78% 올랐고 성남 분당구(0.63%), 안양 만안구(0.54%) 등도 상승세가 뚜렷했다. 매매가 오름세는 구리(0.96%), 성남 분당구(0.74%), 광명(0.73%), 남양주(0.62%)에서 두드러졌다. ‘세종 천도론’의 영향으로 세종의 매매가 상승률은 3.06%를 기록했다.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한국감정원 통계에서도 이번주 서울 매매가와 전세가는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지난주보다 상승폭은 둔화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02%, 전세가는 0.14% 올랐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매매가는 0.02%포인트, 전세가는 0.03%포인트 하락했다. 한국감정원과 KB국민은행의 통계가 차이를 보이는 것은 표본 수와 조사방법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은 아파트와 관련해 약 3만가구, 한국감정원은 1만6,000여가구를 표본으로 삼아 집계한다. 또 KB국민은행은 중개업소를 통해 실거래가와 호가를 온라인으로 취합한 뒤 전화·팩스 조사로 보완하는 방식인 데 비해 감정원은 표본주택을 월 1회 조사하며 실거래가와 유사 거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치를 뽑는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차이로 KB국민은행 통계가 현장의 체감속도를 빠르게 반영한다고 보고 있다. 부동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표본과 조사 방식 차이 등으로 양측의 일부 통계수치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다”며 “실물 현장은 KB부동산 통계가 더 빨리 반영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이번주 집값 상승률 등을 살펴볼 때 안정화 단계로 판단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조주현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주택가격지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정부에서 유리한 지수를 기초로 안정화 단계라고 평가한 것 같다”며 “지역별 편차, 상승 수준 등 여러 지표를 종합적으로 보고 판단해야 이 같은 착오를 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은 “주택 시장은 안정화 단계라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변동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각종 규제로 시장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등 여러 위험요소가 산재해 있으며 양극화도 극심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양지윤·권혁준기자 yang@sedaily.com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