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주담대에다 동학개미 '빚투'까지 급증… 가계빚 또 사상 최대

2·4분기 기준 가계신용 1,637조원

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 창구. /연합뉴스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 창구. /연합뉴스



올해 2·4분기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가계 빚이 1,637조원을 넘은 것으로 집계돼 다시 한 번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가격 급등에 따라 주택 관련 수요가 몰리면서 주택담보대출 뿐 아니라 신용대출까지 끌어다 쓴 영향이다. 주식시장 회복에 따른 투자 수요까지 겹치면서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졌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2·4분기 말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2·4분기 말 기준으로 가계신용 잔액은 1,637조3,000억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25조9,000억원 늘었다. 한은이 집계를 시작한 2002년 4·4분기 이후 최대 규모다. 전 분기(11조1,000억원)와 전년 동기(16조8,000억원) 대비 모두 증가폭이 확대됐다. 가계신용은 은행, 보험사, 대부업체, 공적 금융기관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가계부채를 의미한다.

관련기사



가계신용 가운데 가계대출 증가 규모도 23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17조3,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커졌다.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은 전분기 대비 소폭 줄었지만, 기타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증권회사의 신용공여액은 1·4분기 4조6,000억원 줄었다가 2·4분기 7조9,000억원 늘면서 규모가 증가했다.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판매신용 잔액은 91조6,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조원이 늘었다. 자동차 등 소비가 늘면서 여신전문 회사 중심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주택담보대출은 전세자금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분양물량 증가로 집단대출이 늘었음에도 대출규제 등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며 “반면 기타대출은 주식시장 회복에 따른 증권시장의 신용공여 증가로 증가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