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타 유럽국가와 달리 ‘집단면역’을 통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해결을 추구했던 스웨덴의 올해 상반기 사망자가 150여년 만 최대치를 기록했다.
19일(현지시간) 가디언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통계 당국은 올해 상반기 사망자가 5만1,40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대기근 등의 영향으로 5만5,431명이 숨진 지난 1869년 상반기 이후 151년 만에 최대치다. 다만 당시 스웨덴의 인구는 약 410만명이었으나 현재는 1,030만명에 달한다.
스웨덴 당국은 올 상반기 사망자 수가 지난 5년간 평균 사망자 수보다 약 10% 높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4월 코로나19 관련 사망자가 급증하며, 사망률이 평균보다 40%가량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사망자 중 코로나19에 따른 것으로 확인된 이들은 4,500명 정도로 추정됐다. 하반기 들어서도 코로나19 사망자는 계속 증가하며, 현재까지 스웨덴서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5,800여명에 달한다.
이는 영국과 스페인 등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입은 여타 유럽 국가보다는 낮은 비율이다. 하지만 핀란드와 노르웨이 등 인근 북유럽 국가들과 비교할 때 스웨덴의 사망자의 수는 훨씬 많다. 스웨덴은 엄격한 봉쇄를 택한 대다수의 유럽 국가와 달리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자발적인 수단을 택했고 학교와 영업장도 전면 폐쇄하지 않았다. 실제로 강력한 봉쇄조치를 택한 노르웨이의 경우 인구는 스웨덴의 절반에 불과하지만, 총 사망자는 260여명으로 2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봉쇄를 피했지만 경제도 살리지 못했다. 핀란드의 경우 올 2·4분기 더 강력한 봉쇄정책을 취했음에도, 국내총생산(GDP) 감소율이 5%에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스웨덴은 -8.6%를 기록했다.
스웨덴의 느슨한 방역은 집단면역에 대한 보건당국의 집착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스웨덴에서는 코로나19 대응을 총괄하는 감염병 학자가 집단면역을 위해서라면 노인들의 피해를 일부 감수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가디언에 따르면 안데르스 텡넬 스웨덴 공공보건청장은 지난 3월 핀란드 보건복지부 소속 전문가와의 이메일에서 “집단면역을 빨리 얻기 위해 학교를 개방해 놓는 게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텡넬 청장은 학교 폐쇄로 노령층 내 코로나19 확산이 10% 줄어들 것이라는 지적에 “10%라면 해볼 만하지 않으냐”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