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정 총리, 의협에 타협안 내놓을까?

의대 정원 확대 등 의료정책

정부 유연성 발휘하지 않으면

코로나19 위기·의료대란 우려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등 ‘정부의 4대 의료정책’ 철회를 요구하는 의사들의 파업(집단휴진) 참여 범위가 확대되면서 의료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중증환자가 몰리는 대학병원의 진료 차질이 본격화하고 있다. 21~23일 연차별로 나눠 파업 참여대상을 늘린 전공의(인턴·레지던트)에 이어 전문의 자격 취득 후 세부 전공을 수련 중인 전임의(임상강사) 상당수도 24~26일 순차적으로 진료에서 손을 떼기 때문이다. 전임의는 파업에 들어간 전공의들의 공백을 메워온 핵심 인력. 대한전임의협의회는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 정책 등을 철회하지 않으면 무기한 파업도 불사하기로 했다.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시보라매병원 소속 전임의 가운데 288명은 24일 헌혈 릴레이 참여, 4대 의료정책에 반대하는 홍보물 배부와 1인 릴레이 피켓 시위 등에 들어갔다. 복귀 시점은 미정이다. 다만 응급실·중환자실·분만실·투석실 등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 업무는 유지하기로 했다. 서울아산병원 전임의 일부도 이날부터 파업에 동참한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23일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단과 면담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세균 국무총리가 23일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단과 면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따라 외래진료·수술 환자가 부쩍 늘어나는 월요일인 24일부터 중환자 등이 몰리는 대학병원들은 이미 수술과 응급실 입원 환자, 외래진료 환자는 물론 선별진료소의 코로나19 의심자 검사 등을 줄이기 시작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가 23일 정세균 국무총리와의 면담에서 코로나19 환자 진료 등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했지만 무기한 파업에 돌입하더라도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히 협의해 선별진료소 등 방역인력이 필요한 곳에는 주도적으로 참여하겠다는 기존 입장과 별다를 게 없다.

관련기사



26~28일 개원의사 단체인 대한의사협회가 주도하는 제2차 ‘전국의사 총파업’에는 각급 병·의원에서 일하는 고용의사인 봉직의들까지 상당수 참여할 예정이어서 진료 차질은 훨씬 커진다.

이에 따라 24일 오후 의협과 만나는 정 총리가 의대 정원 확대 등 정부·여당의 ‘4대 의료정책’과 관련해 어떤 타협안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의협·전공의협의회 등은 4대 의료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지만 정 총리가 “(의대 정원 확대 등 4대 의료정책의 철회가 아닌) 원점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하자”고 제안하고 의사단체가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대한의사협회는 코로나19 재확산이 심각하다는 판단에 따라 국무총리와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에 긴급 의정(醫政)간담회 개최를 제안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