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선진국 부채 2차대전 이후 '최악'

코로나 대응탓 지출 크게 늘려

전세계 GDP의 128%로 증가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연방준비제도 본부 /로이터연합뉴스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연방준비제도 본부 /로이터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대응을 위해 세계 각국이 지출을 늘리며 선진국의 부채 규모가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로 불어났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통화기금(IMF)의 자료를 인용해 지난 7월 선진 경제국가들의 부채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28% 수준으로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6년 124%를 기록한 후 가장 큰 규모다.


막대한 부채 규모만큼이나 빠른 회복 가능성이 낮다는 점도 문제다. 2차 대전 당시에는 급속한 경제성장 덕분에 선진국 부채가 급감했지만 이번에는 그렇게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1946년 GDP 대비 124%였던 주요국의 부채 비율은 1959년 50% 미만으로 떨어졌다. 1950년대까지 경제성장률은 프랑스와 캐나다 연 5%, 이탈리아 연 6%, 독일과 일본이 연 8% 이상이었고, 미국도 연 4%에 육박하면서 이 같은 부채 감소가 가능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인구구조와 기술발전, 느린 성장속도 등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진 뒤에도 부채가 빠르게 줄어들기는 어렵다고 WSJ는 지적했다. 미 재무부 차관을 지낸 네이선 시츠 푸르덴셜파이낸셜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앞으로 10년 동안 그 절반만 돼도 우리에게는 행운일 것”이라고 말했다.

선진국 인구 증가율 둔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도 2차 대전 직후와 같은 경제호황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1960년대 초까지 주요7개국(G7)의 인구 증가율은 모두 연 1%에 육박했지만 현재는 이에 미치지 못하며, 일본과 이탈리아는 인구가 줄고 있다. WSJ는 주요국에서 인구 증가가 둔화하면서 사회가 고령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극심한 미국 뉴욕시의 재정난도 비관적인 전망을 뒷받침한다. 같은 날 WSJ의 보도에 따르면 뉴욕시는 향후 2년간 90억 달러(약 10조7,100억원)에 달하는 재정적자와 2만2,000명의 공무원이 해고되는 등 높은 실업률에 직면할 위험이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