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식사시간 나누고 노트북 들고 퇴근…코로나19 대응 분주한 車업계

마스크 착용 불가능한 식사시간 이원화해 거리두기 시행

3중 발열체크하고 사업장 폐쇄 대비해 대체근무센터 마련

유연·재택근무 확대 등 방역 수칙 재정립

현대차 직원들이 차량을 조립하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현대차 직원들이 차량을 조립하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



국내 완성차 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막기 위해 차단 프로그램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27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코로나19 확산이 마스크를 벗을 수밖에 없는 ‘식사 시간’에 주로 이뤄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점심 시간 바이러스 확산 차단에 나섰다. 현대·기아차는 식당에서의 생산직 거리두기 강화 차원에서 식사시간 이원화를 추진하는 한편 구내식당 좌석 가림막 설치를 상시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 울산공장의 경우 생산직은 10시50분부터 11시30분까지, 사무직은 11시30분부터 12시10분까지 식사를 하게 됐다.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 연구원들은 A·B·C·D그룹으로 분류한 후 11시30분부터 1시 30분까지 30분 단위로 그룹별 식당과 배식시간을 설정했다.

관련기사



현대차그룹은 또 국내·외 공장에서 마스크 자체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지난 7월부터 월 80만개를 생산해 전 세계 현대차그룹 임직원과 가족들에게 공급하는 체제다. 또 층간 이동 금지 등을 통해 사업장 내 코로나 확산 가능성을 차단하고, 사업장 출입 임직원에 대해서는 통근버스 탑승부터 사옥 출입 전까지 3중 발열 체크를 실시하고 있다. 확진자가 발생해 업무공간이 폐쇄될 경우를 대비해 필수 업무를 수행할 대체근무센터도 마련했다.

르노삼성의 경우 코로나19 대응 태스크포스를 조직해 확산에 대응하고 있다. 급작스레 발생할 재택근무에 대비해 퇴근 시 노트북을 지참할 것을 권고하고 있고, 전 임직원에게 감염 수칙과 확진자 및 접촉자 발생을 알려 주는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한국GM은 ‘e-견적 상담 서비스’를 활용해 구매 단계에서 접촉은 줄이고 편리함은 더한 서비스를 출시했다. 쌍용차는 홈쇼핑을 통한 차량 판매에 나서는 등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여 코로나19의 돌파구로 활용하고 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장은 “자동차 업계에 부품수급과 유동성 애로 등이 재발생 혹은 확대될 우려가 있는 점을 감안해 업계와 정부 간 가교 역할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