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미래에셋대우 신용거래 금리 인하...업계로 확산되나

"기준금리 낮출때 신용금리 변동 無"

금융위원장 지적에 0.5%P 낮춰

0115A22 미래에셋대우 다이렉트 계좌



금융위원장이 공개적으로 신용융자 금리 인하를 요구한 직후 미래에셋대우(006800)가 증권사 가운데 가장 먼저 신용거래 금리를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대우는 지난 28일 장 마감 후 9월28일부터 영업점 외 계좌(다이렉트 계좌)에 대한 신용거래 금리를 기존 9.0%에서 8.5%로 낮춘다고 공지했다. 해당 금리는 신용융자 금리와 예탁증권담보대출 금리에 모두 적용된다.

미래에셋대우는 “연간 1~2번 정도 기준금리를 계산해 공지하는데, 기준금리 영향을 반영해 인하한 것”이라며 “은행과 달리 운용을 해야 하는 증권사의 경우 기준금리가 신용거래 금리로 이어지는 데 시차가 있다”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서는 미래에셋대우의 신용거래 금리 인하 공지 시점이 금융위원장과 미래에셋대우와 한국투자증권·삼성증권·대신증권·키움증권 5개 주요 증권사 사장이 참석한 증권업계 간담회 직후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7일 열린 간담회에서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하하는 동안 신용융자 금리를 전혀 변동시키지 않은 증권사들이 있다고 한다”며 “개인투자자들이 불투명성과 비합리성을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국내 증권사 중 자기자본이 가장 큰 미래에셋대우가 간담회 직후 자발적으로 신용거래 금리 인하를 단행하며, 이 같은 움직임이 다른 증권사로도 확대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대신증권은 앞서 9월10일부터 다이렉트 계좌에 대해 신용거래융자 금리를 기존 10.5%에서 8.5%으로 낮추기로 했다. 이 밖에도 간담회에 참석한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등이 모두 금리 조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가 상승을 기대한 개인투자자들이 빚을 내 주식을 사는 사례(빚투)가 늘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전체 신용융자 잔액은 27일 기준 15조8,748억원에 달한다.

증권사 신용거래 재원은 한국증권금융으로부터 받는 유통융자와 자기자본을 활용하는 자기융자가 있는데, 이 두 방식을 통한 재원 마련의 조달금리가 통상 2% 초반 수준이다. 증권사들은 금융투자협회 모범규준에 따라 여기에 △유동성 프리미엄 △신용 프리미엄 △자본비용 △업무원가 등 제반비용 △목표이익률 등을 감안한 가산금리를 붙여 최종금리를 결정한다. 금융 당국과 증권사는 이달 중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개인투자자들이 증권사로부터 주식 매수대금을 빌릴 때 적용되는 신용융자 금리를 합리화·투명화하기 위해 조달비용지수를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