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랑제일교회 진단검사 끝냈더니 양성 판정 비율도 '뚝'

이번주 서울 양성판정비율 2.55%로 줄어

다른 지방보다 높아 강력한 방역 체계 유지 필요




서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 기세가 일단 주춤해지고 있다. 일일 확진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진단 검사를 받은 사람 중 양성 판정이 나오는 비율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산발적 집단 감염이 전국에서 계속 일어나고 있어 사회적 거리두기 유지가 필요하다고 방역당국은 지적했다.

5일 서울시 공공보건의료재단에 따르면 9월 첫째 주(8월30일∼) 검사건수 대비 양성률은 2.55%로 나타났다. 100명이 코로나19 검사를 받았을 경우 양성자가 2.55명 이라는 뜻이다. 이는 직전 주인 8월 넷째 주(23∼29일)의 3.8%에서 1.25%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양성률이 사상 최고를 기록한 8월 셋째 주(16∼22일) 4.57%에 비하면 2주 만에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8월 셋째 주는 성북구 사랑제일교회와 광복절 대규모 집회의 영향으로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온 때다.

관련기사



확산세를 가늠할 수 있는 다른 지표인 ‘감염재생산수’도 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의 감염재생산수는 8월 첫째 주(2∼8일) 1.03에서 둘째 주(9∼15일) 1.66으로 급등했으나 셋째 주(16∼22일) 1.48, 넷째 주(23∼29일) 1.10으로 떨어졌다. 다만 감염재생산수가 여전히 1을 넘기고 있어 확산세는 유지되고 있다.

이같은 감소세는 일단 지난달 16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2.5단계까지 격상하고 실내외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등 방역조치의 효과가 일부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규모 집단감염이 발생한 사랑제일교회 관련 진단검사가 상당 부분 마무리됐기 때문이기도 하다. 지난 3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사랑제일교회 교인과 방문자 가운데 3,553명이 진단검사를 받아 636명이 확진됐다. 양성률은 17.9%로 다른 집단에 비해 월등히 높다. 사랑제일교회 관련 진단검사는 지난달 14일 행정명령 직후 집중적으로 이뤄졌고 지난달 말부터는 검사 인원이 하루 수십 명으로 줄었다.

다만 서울 지역의 최근 양성률은 지난 1월 이후 전체 검사건수 대비 양성 비율 0.96%에 비하면 여전히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확산세를 꺾기 위해서는 강력한 방역체계 유지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