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시 거부 의대생 구제 말라” 청원 43만 돌파…한정애 “추가 접수 어렵다”

청와대 국민청원 43만 돌파

청원인 "시험 거부가 투쟁 수단이 될 수 없다"




전국 의과대학생들이 8일부터 진행되는 의사 국가고시 거부를 유지하기로 결정하면서 국시 접수 취소 의대생의 구제를 반대하는 내용의 청와대 국민청원 서명도 43만 명을 넘어섰다. 대한의사협회와 정부·여당의 ‘원점 재논의’ 합의에도 전국 40개 의과대학 응시자 대표회가 만장일치로 국가시험을 치르지 않기로 결정한 데 대한 환자들의 불만이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달 24일 게재된 ‘국시 접수 취소한 의대생들에 대한 재접수 등 추후 구제를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 글은 7일 오전 10시21분 현재 서명 인원 43만9,246명을 기록했다. 해당 청원인은 “시험을 거부하는 것 자체가 투쟁이 될 수 있는 집단은 거의 없다”며 “(의대생들은) 자신의 행위가 의료 공백으로 연결될 것을 알고 그것을 투쟁의 수단으로 쓰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 청원인은 “학(이 같은 투쟁은) 학부 정원부터 철저히 소수로 관리되어 오면서 예비 단계임에도 의료 면허 획득을 확신할 수 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단체행동”이라며 “구제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청원인은 “옳고 그름을 떠나 투쟁의 수단으로 포기한 응시의 기회가 어떠한 형태로든 추가 제공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며 “그들은 그 자체로 특권을 누리고 있는 것이며 당연한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나아가 “그들의 생각대로 추후 구제, 특별 재접수라는 방법으로 의사 면허를 받게 된다면 그들은 국가 방역의 절체 절명의 순간에 국민의 생명을 볼모로 총파업을 기획하고 있는 현 전공의보다 더한 집단 이기주의적 행태를 보일 것이며 그 때마다 국민들은 질병 자체에 대한 불안함보다 더 큰 불안함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올해 의사 국가고시는 8일부터 시작된다. 정부는 의협과 집단행동 중단 합의가 있었던 지난 4일 이후 재접수 기한을 4일에서 6일로 늦췄다. 이후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집단 행동을 중단키로 결정하자 응시 접수 기한을 자정까지 다시 연장했다. 이런 이유로 정치권 역시 의대생의 연이은 국시 거부에 더 이상 응해주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7일 “이미 2차례 연기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접수가 어렵다”며 “미접수 의대생은 구제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