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공단 침체에 부도율 치솟은 울산... 상가 폐업도 전국서 1위

소진공 2분기 전국 상권 분석 결과

1분기 대비 2분기 점포 1만곳 감소

울산 감소폭 6.2%로 가장 높아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경영 악화

소상공인 70% "코로나로 폐업 고려"

지난 3일 경기 시흥시 공단 인근의 한 먹자골목 거리. 작년까지만해도 인근 공단 직원들이 저녁식사나 모임 등을 위해 빼곡히 들어차 있었지만, 공단 전체가 힘들고 코로나19마저 겹쳐 인적이 드물고 가게 앞 손님을 기다리는 빈 테이블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 /박호현기자지난 3일 경기 시흥시 공단 인근의 한 먹자골목 거리. 작년까지만해도 인근 공단 직원들이 저녁식사나 모임 등을 위해 빼곡히 들어차 있었지만, 공단 전체가 힘들고 코로나19마저 겹쳐 인적이 드물고 가게 앞 손님을 기다리는 빈 테이블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 /박호현기자



IMF 외환위기도 견뎌낸 공업도시 울산이 최악의 상황에 몰리고 있다. 자동차·조선 등의 주력산업이 휘청이고 있는 데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중소업체들의 일감이 사라지면서 공단은 물론 주변 상권까지 급속히 무너지고 있어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조선·자동차·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이 집중돼 있고 국내 생산·수출 1위를 담당하고 있는 울산지역의 어음부도율이 지난 7월 1.88%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치인 0.05%의 약 38배다. IMF 외환위기 직후 기록했던 2%대에 육박한 수치다.

대우조선해양 자회사인 신한중공업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여파지만 울산 지역은 “남의 일이 아니다”라며 초긴장하고 있다.


공단이 무너지자 주변 상권도 급속히 몰락하고 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상권 정보 분석에 따르면 2·4분기 전국 상가 점포는 256만 9,824곳으로 1·4분기 267만 3,767곳 대비 10만 3,943곳이 감소했다. 3개월 동안 하루에 1,100여 개 꼴로 점포가 사라진 것이다. 지역별로는 울산의 감소폭이 6.2%로 가장 컸다. 주변 상권 침체가 다른 지역에 비해 심각해지고 있는 셈이다. 또 코로나19가 재확산되기 전임에도 불구 2·4분기에만 수도권에도 5만 4,760곳의 점포가 사라졌다. 감소율로 보면 서울과 인천이 나란히 5.4%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0715A01 전국·울산 어음부도율 비교


더 큰 우려는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지난달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면서 자영업자 줄폐업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소상공인 3,415명을 대상으로 경영 실태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87%는 코로나 재확산 이후 경영활동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조사에서 코로나 재확산 이후 매출액 영향에 대해 60%는 ‘90% 이상 감소했다’고 답했다. 매출 차이가 없거나 늘었다고 답한 비율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업종 피해액에 대해 31.3%가 ‘500만 원 이상~1,000만 원 미만’을 꼽았다.

특히 코로나 재확산 이후 업종 전망에 대해 50.6%는 ‘사업을 유지하고 있지만, 폐업을 고려할 것 같다’고 답했다. 22.2%는 ‘폐업상태일 것 같다’고 답했다. 약 70%가 향후 폐업하거나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상당수 소상공인이 매출 감소와 임대료란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경영비용 가운데 가장 큰 부담을 주는 비용을 묻자 69.9%가 ‘임대료’를 꼽았다.


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