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코로나 시대, 온라인으로 수출 활로 뚫는다

[대외경제장관회의]

대기업 해외 유통망 활용하고

'브랜드K' 현지 홈쇼핑 연계도

'상계관세 대응' 부처 TF 설립

중소·중견기업 피해 차단 나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성형주기자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성형주기자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위축된 수출 시장을 온라인·비대면 판매망을 강화해 뚫기로 했다. 대기업의 해외 유통망 활용과 아마존 등 해외 유명 온라인몰과의 협업을 통해 중소기업 등의 수출 확대를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14일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비대면·온라인 트렌드 활용 중소기업 수출 지원성과 및 향후 과제’를 발표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 2·4분기 중소기업 전체 수출액은 전년 대비 13.5% 감소했으나 온라인 수출액은 오히려 128.9% 증가했다. 정부는 “비대면·온라인 수출이 중소기업 수출 회복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며 “이런 회복세가 가속화하도록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표적 사례가 ‘자상한 기업(자발적 상생협력 기업)’으로 선정된 대기업 등의 현지 유통망·네트워크를 활용해 중소기업의 온라인 판로를 개척하는 것이다. 중기부는 국내 대기업이 보유한 슈퍼마켓 등 유통망의 일부 공간을 활용해 유망 국내 스타트업의 제품을 전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또 정부는 G마켓·11번가 등 국내 온라인몰에 입점한 중소기업 인기 제품을 아마존 등 7개 해외 유명 온라인몰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간소화한다. 별도 입점 절차 없이도 미국 아마존·이베이와 쇼피(Shopee), 큐텐(Qoo10) 등에서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쇼피는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7개국에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1위를 달리는 최대 쇼핑몰이며 큐텐도 자체 국제배송을 통해 싱가포르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 공동 브랜드인 ‘브랜드K’ 제품 홍보를 위해 현지 홈쇼핑·라이브커머스 등 다양한 온라인 채널과의 연계를 지원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출지원 시스템을 도입해 국내 중소기업에 맞춤형 진출 전략을 지원한다.

아울러 강화되는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해 관계 부처 합동으로 ‘상계관세 대응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기로 했다. 국내 기업에 대한 상계관세 조치가 지난 2017년 7건에서 올해 9월까지 10건으로 늘었고 중소·중견기업도 피해를 입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상계관세 조사 범위가 ‘환율 저평가’ 등으로 확대돼 미국·인도 등이 국내 수출품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우즈베키스탄과의 경제협력 및 무역협정 또한 추진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월 중 국회보고 등 국내 절차를 마무리하고 연내 한·우즈베크 무역협정 협상개시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