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2.5단계로 상향된 후 음식 배달이나 택배 등 비대면 소비가 빠르게 늘어나며 쓰레기가 폭증했다. 특히 재활용도 되지 않는 음식물 용기 등이 쏟아지면서 수도권 지역은 언제 쓰레기 대란이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은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환경부는 넘치는 쓰레기를 잠시 모아두는 방식으로 대응 전략을 짜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오는 30일 시작되는 추석 연휴 전 폐비닐과 폐플라스틱 등 쓰레기 처리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 11일 내놓은 재활용시장 적체 증가 대비책에 이은 후속대책이다. 재활용품 수요처를 확대하고 공공비축 등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지방자치단체 등과 논의하고 있다.
환경부가 연일 쓰레기 대책을 내놓는 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일회용품 사용이 늘면서 폐비닐과 폐플라스틱 발생량이 올해 상반기 전년 대비 각각 11%, 15% 증가해서다. 여기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쓰레기 배출량은 연일 급증하고 있다. 특히 배달 음식에서 나오는 양념 묻은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고 깨끗이 씻더라도 재활용 비용이 비싸 골칫거리다.
재활용품 선별장도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후 쓰레기 유입량이 늘며 적체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은 정해져 있는데 반입량은 빠르게 늘면서 업체들이 부담을 호소한다. 적체 현상이 심화될 경우 선별장이 마비돼 업체들이 수거를 거부하는 ‘쓰레기 대란’이 일어날 수 있다. 환경부는 일부 물량을 별도 부지에 일시 보관하는 공공비축을 중심으로 대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임시대책일 뿐이다. 서울 동작구의 한 재활용품 수거업체 관계자는 “배달로 배출되는 비닐이나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안 돼 재활용 집하장소가 아닌 소각장이나 매립지로 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연말까지 근본적인 해결책을 내놓지 않으면 쓰레기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단체는 다회용기 대여업체를 발굴·육성하거나 정부가 나서서 다회용기 회수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제는 업체들이 인건비 부담 등을 이유로 다회용기 사용을 꺼린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다회용기를 공급한 뒤 회수·세척까지 하는 업체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식당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찾고 있지만 내년도 예산이 일부만 반영되는 등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코로나19로 방역이 최우선 되는 상황에서 일회용품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를 강하게 내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배달 주문을 자제해달라고 말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음식물이 묻은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아닌 종량제 봉투에 넣어달라고 하는 등 홍보 활동을 강화하면서 처리 대책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