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노화로 인한 다리 모양 변형, 연골 손상 빨라진다

노화가 나타나면 몸 여기저기가 쑤시고 아프다. 통증 뿐만 아니라 관절·척추의 변형도 나타난다. 생계를 책임지고 자식들 뒷바라지하느라 고생한 흔적이지만 ‘부모님 나이에는 어쩔 수 없지’라고 생각하기보다 질환으로 나타나는 변화는 아닌지 세심하게 관찰해보자. 질환이 원인이라면 병의 진행 시기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힘찬병원 의료진이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무릎 인공관절 모형. /사진=힘찬병원·게티이미지뱅크힘찬병원 의료진이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무릎 인공관절 모형. /사진=힘찬병원·게티이미지뱅크



◇두 무릎 사이가 벌어진 ‘O다리’, 통증 심하면 말기 관절염?


무릎이 점차 안쪽으로 휘어 다리가 O자로 휘어진 부모님도 많다. O자로 휜 다리는 무릎의 통증과 다리가 휘어진 정도를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동힘찬병원 이정훈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노화가 진행되며 나타나는 다리 모양 변형은 짧은 기간 관절염을 악화시킬 수 있을 정도로 연골 손상을 유발한다”며 “고관절(엉덩관절)부터 무릎·발목을 잇는 축만 바로잡아도 인공관절수술을 늦출 수 있으므로 무릎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당연한 증상이라고 생각하며 방치하지 말고 치료를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부모님이 똑바로 섰을 때 무릎 사이에 주먹 하나 정도의 공간이 생겼을 정도로 무릎이 심하게 벌어졌다면 이미 관절염이 말기로 진행되고 통증도 심할 가능성이 크다. 이때는 인공관절 수술로 관절 기능을 회복시키고 다리를 곧게 교정할 수 있다. 최근에는 3차원(3D)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뼈의 최소절삭 범위와 정확한 인공관절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로봇시스템을 이용한 인공관절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로봇 인공관절수술은 정밀한 계산값을 제공해 수술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무릎 주변 연부조직의 손상을 줄여 수술 후 통증 감소와 회복시간 단축에도 도움이 돼 고령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ㄱ자’로 굽은 허리, 보행습관·골밀도 확인해야


퇴행성 변화로 근육량이 감소하고 근력이 떨어지면 척추를 지탱해주는 허리 인대와 근력이 약해지면서 허리를 펴고 버티기가 어려워진다. 자연스럽게 허리가 구부러진다. 단순한 근력 약화의 경우 허리 근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꾸준히 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관련기사



문제는 다른 척추질환으로 인해 허리가 굽어지는 경우다. 만약 걷다가 멈추기를 반복하고 엉덩이와 다리가 저린 증상을 호소한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수신경 주변 인대·관절이 노화로 점차 탄력을 잃고 비대해지면서 척추관이 좁아지고, 그 안을 지나는 신경이 눌리면서 통증이 생기는 질환.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통증이 줄기 때문에 걸을 때 자신도 모르게 허리를 굽히게 된다. 증상이 심해지면 통증으로 허리를 펴기가 어렵고 마비까지 올 수 있으므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골밀도가 낮아진 골다공증 상태에서 가벼운 충격이나 낙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척추압박골절도 흔하다. 골절로 척추뼈가 주저앉아 허리가 굽어지는데 추가 골절 위험이 높으므로 반복적인 골절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부평힘찬병원 박진규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골절 정도가 경미하면 약물치료와 침상 안정으로 호전될 수 있고, 증상이 심한 경우엔 척추뼈에 가느다란 주사 바늘로 특수 골 시멘트를 주입해 상태를 복원하는 척추성형술이 시행된다”고 설명했다. 평소 부모님이 꾸준한 운동과 함께 칼슘·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며 골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발가락의 ‘ㅅ 변형’ 노년의 무지외반증?

무지외반증은 하이힐이나 발볼이 좁은 신발을 신는 젊은층 여성에게 흔한 질환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노년층의 무지외반증도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젊은 나이부터 나타난 발의 변형을 방치했다가 뒤늦게 통증으로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60대 이상 무지외반증 환자 수는 2015년 1만 6,326명에서 지난해 2만 3,240명으로 42% 증가했다. 전체 무지외반증 환자 수가 같은 기간 8% 증가(5만 6,815→6만 1,554명)한 것에 비해 증가폭이 훨씬 크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휘어지면서 아래 부위가 돌출된 상태로 튀어나온 부분이 신발과 닿으면서 통증이 나타난다.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지면서 발가락의 모양이 시옷(ㅅ)자 처럼 보인다. 통증이 없다면 변형을 교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발가락 변형으로 인해 몸의 중심축이 변화한다면 무릎이나 골반·척추에까지 부담을 줄 수 있다. 통증 때문에 큰 신발을 신으면 걷다가 넘어지는 등 낙상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통증을 참기보다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무지외반증은 통증의 정도나 휘어진 각도에 따라 보조기나 특수 신발 착용 등 보존적 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뼈를 깎아 휘어진 각을 교정하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