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119구급차 이송현황’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7월까지 응급실로 이송한 371만1,894명 중 7,715명(0.21%)이 ‘응급실 도착 전 사망’(DOA)했다. 연도별로는 2018년 3,353명, 지난해 2,806명, 올해 7월까지 1,556명이었다.
광역시도 중 응급실 도착 전 사망률이 가장 높은 곳은 대도시에 비해 응급실을 갖춘 의료기관이 적고 인구밀도가 낮은 경북·전북(0.6%)으로 가장 낮은 대구(0.06%)의 10배나 됐다. 이어 강원 0.44%, 제주 0.4%, 충북 0.39%, 경남 0.27%, 전남과 울산(울주군 포함) 0.26%, 인천(강화·옹진군 포함) 0.21%, 부산(기장군 포함) 0.13%, 충남 0.25%, 경기 0.11%, 서울 0.09%, 광주 0.08%, 대전 0.07% 순이었다. 대구는 달성군을 포함하고 있지만 응급실 도착 전 사망률이 0.06%로 가장 낮았다.
이 기간 대구·광주·대전·강원·전남·제주의 응급실 도착 전 사망률은 꾸준한 감소세를 보인 반면 인천(0.13→0.33)·충남(0.23→0.27)은 계속 악화됐다.
기초자치단체 가운데는 경북 청송군 등 총 23곳에서 119구급차 이송환자 100명 중 1명 이상의 응급실 도착 전 사망이 발생했다. 청송이 4.26%로 가장 높았고 전북 순창군(2.88%), 충북 괴산군(2.82%), 전북 임실군(2.70%), 경북 영천시(2.44%), 강원 양구군(2.36%), 전남 구례군(2.35%), 전북 무주군(2.17%), 충남 서천군(2.09%)이 2%대였다. 경북 고령군(1.97%), 경남 의령군(1.92%), 경북 울릉군(1.59%), 강원 태백시(1.51%)·영월군(1.49%)·평창군(1.39%)·화천군(1.28%), 충북 영동군(1.26%), 경북 의성군(1.18%), 전북 고창군·전남 광양시(1.17%), 전북 익산시(1.16%), 경북 포항시 북구(1.05%), 전북 장수군(1.01%)은 1%대였다.
신 의원은 “응급실 도착 전 사망은 외상, 급성 심근경색 등 중증·급성 질환자가 응급실 이동 중 사망하는 사례와 집에서 임종 후 사망 판정을 위해 응급실에 방문하는 사례가 섞여 있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국민이 어느 곳에 거주하더라도 적절한 응급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역별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공공의료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