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플랫폼이 동네 마트에까지 진출하면서 기존 편의점 업계와 갈등을 빚고 있다. 편의점 업계는 배달의 민족(배민)이 ‘B마트’를 시작한 후 배달 서비스 매출이 반토막 났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반면 플랫폼 측은 기존 이커머스의 당일배송이나 새벽배송 등 다양한 요인이 편의점 배달 매출 감소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우아한형제들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B마트의 지난 8월 매출은 서비스를 시작한 지난해 11월 대비 963.3%에 올랐다.
B마트는 자체 도심 물류거점을 확보해 생수, 라면, 쌀 등 생필품 및 신선식품, 가정간편식(HMR) 등을 대량으로 직매입해 소비자에게 30분~1시간 안에 배달하는 서비스다. 우아한형제들은 도심 물류 거점을 지난해 말 15개에서 현재 30여곳까지 늘리고, 상품 수도 초기 300여개에서 5,000여개까지 늘리는 등 B마트 서비스 확장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배민의 B마트 성공에 요기요도 유사한 형태의 ‘요마트’ 서비스를 지난달 정식 론칭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지역 편의점 업체 배달 매출액은 급감했다. 홍 의원실이 한국편의점협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 A 편의점 업체는 배달 서비스 운영 점포가 지난해 11월 582곳에서 올해 8월 942곳으로 늘었는데도 평균 주문액이 48%, 평균 주문 건수도 3.3건에서 1.5건으로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편의점 업계는 배민에는 B마트가 있다는 이유로 편의점의 배달 앱 입점을 거부하고, 요기요는 요마트를 편의점 카테고리 상단에 노출하는 특혜를 주는 불공정행위를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한국편의점주협의회는 최근 입장문을 내고 “플랫폼 사업자들이 슈퍼마켓과 편의점, 중소형 마트 등 전통적으로 소매 업종에서 취급하는 식재료와 생활용품, 애견용품 등을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있어 골목상권의 붕괴가 필연적”이라며 “중간 도매상도 더는 설 자리가 없어 유통망 붕괴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홍 의원은 “기존 대형마트나 편의점은 판매 품목과 영업일수, 영업점 위치 등을 규제받고 있으나 플랫폼 업체는 아무런 규제를 받지 않고 있다”며 “공정거래위원회가 배달 플랫폼 업체가 유통업에 진출해 발생한 불공정행위를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편의점 업체의 배달 서비스 매출 감소가 B마트 외에도 다른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라는 의견도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편의점 올해 상반기 전체 매출은 오히려 늘었다”면서 “배달에만 한정 짓는다고 해도 마켓컬리의 한 달 매출이 1,600억원인데 비해 올해 상반기 B마트의 전체 매출은 약 400억원에 불과하기 때문에 B마트만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힘들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