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수원 매매·전세 격차 1억...갭투자 우려 고개

길음 59.9㎡도 6.6억에 전세거래

갭차이 2.6억 수준으로 크게 축소

소형평형은 역전 현상까지 나타나

6·17대책에도 다시 극성 부릴수도

ㅎ



최근 전국 곳곳에서 전셋값이 급등하며 매매가와 차이가 좁혀지고 있다. 일부 비인기지역과 소형 평수 아파트에서는 전셋값이 매매가를 뛰어넘는 ‘역전 현상’도 나타날 정도다. 이에 전세를 끼고 집을 매입하는 이른바 ‘갭투자’가 수도권에서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5일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성북구 길음뉴타운8단지래미안 전용 59.9㎡는 지난달 6억 6,900만원에 전세거래됐다. 이에 매매가(9억3,200만원)와 갭차이가 2억 6,000만원 수준으로 축소됐다. 지난 2월 기준 매매가(8억5,000만원)와 전셋값(4억5,000만원) 시세 차이가 4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격차가 많이 줄어든 것이다. 서대문구 인왕산현대 전용 59㎡ 또한 지난 12일 4억 5,000만원에 전세 계약돼 매매가(7억 8,000만원 수준)와 격차가 3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해당 단지는 지난 6월부터 시세가 급등하면서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커졌지만, 최근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그 차이가 다시 줄었다.


경기도에서 비슷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수원 권선구 LH센트럴타운3단지 전용 84㎡는 지난달 4억 5,000만원에 전세 계약됐다. 해당 평형은 올 초까지만 해도 3억원에서 3억5,000만원 수준에 전세 시세가 형성돼 있었지만, 최근 1억원 넘게 급등한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 해당 단지의 매매가(5억8,000만~6억원)와 전세 가격 차이가 1억원 안팎으로 줄어든 상황이다. 용인 기흥구 금화마을3단지 주공그린빌 전용 59.97㎡ 또한 3억 5,000만원에 전세계약돼 매매가(3억9,800만원)와 차이가 5,000만원 정도에 그친다.

관련기사



일부 지역에서는 전셋값이 매매가를 뛰어넘은 단지들도 다수 포착됐다. 양천구 신월동 해태 전용 59.51㎡는 지난 9월 2억 8,000만원에 전세 계약돼 같은 기간 매매가(2억5,000만원)보다도 3,000만원 가량 높았다. 안산 단원구 공작한양 전용 70㎡ 또한 지난달 전세 거래가(2억2,000만원)보다 8월 매매거래 가격(2억원)이 더 낮았다.

전셋값과 매매가가 차이를 줄이는 이 같은 현상은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의 전세가율은 53.6%로 8월(53.3%) 대비 상승했다.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율 또한 같은 기간 68.7%에서 69.9%로 크게 반등했다. 앞서 한동안 전세가격은 안정을 보인 반면 매매가격은 오르면서 수도권 전세가율은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실제로 지난 8월 서울 전세가율 53.3%는 2012년 9월 이래 가장 낮은 수치였다. 하지만 최근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다시 반등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다.

전세가와 매매가 격차가 줄면서 주택시장 가격 상승세를 이끌었던 ‘갭투자’가 다시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갭투자는 올해 만해도 6·17대책이 나오기 전까지 극성을 부렸었다. 국토교통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투기과열지구 내 3억원 이상 주택 매입 거래 가운데 임대목적 거래가 지난해보다 124.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이에 따라 6·17대책에서 보유세와 양도세 등을 대폭 높이며 갭 투자를 막기로 했다. 하지만 전셋값이 크게 오르며 매매부담이 대폭 줄며 갭 투자 우려가 다시 커지는 상황에 이른 것이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시중에 유동 자금이 풍부한 만큼 상승 여력이 있는 주요 지역 중심으로 갭 투자가 다시 극성을 부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