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부터 내년 1월까지 기온이 평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12월부터 내년 1월 사이 일시적으로 기온이 크게 떨어지는 등 기온 변화가 클 전망이다.
26일 기상청은 ‘3개월(11월∼2021년 1월) 월별 전망’에서 11월과 12월 기온은 대체로 평년과 비슷하고 1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것이라고 밝혔다.
기상청은 11월에는 다소 추운 날씨를 보일 때가 있겠다고 내다봤다. 주로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큰 날이 많고 북쪽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다.
12월에는 찬 공기와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의 영향을 번갈아 받으며 기온의 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차가운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며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날이 있을 전망이다.
내년 1월은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건조한 날이 많을 것으로 내다봤다.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할 때 서해안과 제주도에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다소 많은 눈이 내릴 수 있다.
아울러 기상청은 이번 겨울 건조한 날이 많을 것으로 내다봤다. 11월과 내년 1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고 12월은 평년과 비슷하겠다. 11월 이상저온 발생일수는 3일로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고, 이상고온 발생일수도 3일로 평년과 비슷하겠다.
강수량은 평년(67.7∼97.4㎜)과 비슷하거나 적을 전망이다.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할 경우 지형적인 영향으로 서해안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다소 많은 눈이 내릴 수 있다.
기상청은 다음 달 23일 겨울철(12월∼내년 2월) 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나 국민·언론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한 달 앞서 3개월 전망을 내놓았다.
다만 이번 여름의 긴 장마처럼 예상치 못한 날씨가 발생할 가능성은 여전하다. ‘블로킹’(고위도 지역에서 정체하거나 매우 느리게 이동하면서 주변 대기의 흐름을 막는 온난 고기압)의 발생, 온난화에 기반한 기후변화로 장기간 특이 기압계 출현, 서태평양의 대류 변화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가장 큰 불확실성 요인은 여름과 마찬가지로 블로킹”이라며 “현재 북극 해빙이 역대 최소 수준인 가운데 우랄산맥에 블로킹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블로킹은 우리나라 쪽으로 한기를 내려보내는 역할을 하지만 극단적 형태의 블로킹이 아니라면 오히려 기온이 높을 수도 있다”며 “블로킹이 어디에 나타나느냐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