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믿을건 역시 부동산? ‘한국부자’ 부동산 비중 7년 만에 최대

[KB 2020 부자보고서]

56.6%로 2013년 이후 최고

금융자산 10억 넘는 부자, 35.4만명으로 10년 새 2.2배↑

"100억 있어야 부자...올해 투자 안 늘릴 것"

자산 50억 이상 부자 열에 여섯은 빌딩·상가 보유

코로나로 셋 중 한 명은 소득 감소 경험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우리나라 부자 총자산의 56.6%는 부동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율은 2013년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았다. 부자들은 대체로 100억 원은 있어야 부자라고 할 수 있다고 답했고 올해 금융자산 운용 계획에 대해서는 투자를 늘리기보다는 유지하겠다는 대답이 많았다.

28일 KB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0 한국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 부자의 총자산 중 56.6%가 부동산으로 지난해에 비해 2.9%포인트 올랐다. 2013년(56.9%) 이후 가장 높았다. 보고서는 “2010년대 중반부터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강세로 전환하며 부자들이 보유한 주택 가격이 빠르게 상승한 영향이 있다”고 해석했다. 반면 금융자산 비중은 38.6%로 2013년(37.8%)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았다.


"여차하면 투자" 코로나 불확실성에 현금보유 늘린 부자
총자산 포트폴리오를 보면 거주주택 비중이 26.1%로 전년에 비해 6.4%포인트 오르며 가장 높았다. 그 뒤로는 유동성 금융자산(16.2%), 빌딩 및 상가(12%), 거주 외 주택(10.4%), 예적금(9.3%)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에는 빌딩 및 상가 비중이 17.9%로 2위, 유동성 금융자산이 14%로 3위였는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빌딩 및 상가 가치가 하락하고 시장 급변동에 따른 유동성 자금 보유 확대로 두 자산의 순위가 바뀌었다.



부자를 총자산 50억원 미만과 50억원 이상으로 나눠보면 50억원 미만 부자는 총자산의 30.8%를 거주주택으로, 50억원 이상은 19.9%만 거주주택으로 갖고 있었다. 자산 규모가 클 수록 거주주택 비중이 낮아지며 자산 다양성이 확대됐다는 의미다. 특히 부자일수록 빌딩·상가 투자 비중이 높았다. 50억원 이상 부자의 빌딩·상가 자산 비중은 18.2%로 50억 미만(7.3%)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보유율 측면에서 보면 50억 이상 부자 열에 여섯은(60.1%) 빌딩·상가를 갖고 있어 50억 미만(24.7%)에 비해 크게 높았다. 이 외에도 거주 외 주택, 토지 및 임야, 회원권, 예술품, 채권 등에서 50억원 이상 자산가의 보유율이 50억 미만 부자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부자의 총수는 빠르게 늘었다. 2010년 16만 명이었지만 지난해 35만 4,000명으로 2.2배 불어났다. 연평균 9.2%씩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매년 0.5% 증가하는데 그쳤다. 서울에 46%, 경기도 22%, 인천 3%로 수도권에 70.4%가 거주했다. 부자의 총 금융자산도 2010년 1,158조원에서 지난해 2,154조원으로 1.9배 증가했다.


아울러 부자들은 100억원 이상은 있어야 부자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국에서 부자라면 얼마의 자산을 갖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총자산 100억 이상이라는 응답이 26.5%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50억원(18%), 30억원(9.3%) 순이었다.





올해 금융자산 투자 계획에 대해서는 투자를 늘리겠다는 답변보다는 유지하겠다는 것이 많았다. 주식과 예적금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상품에서 80~90%대의 ‘유지’ 계획을 갖고 있었다. 보고서는 “작년부터 이어진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 확대, 글로벌 저성장 기조 확대 등으로 부자들이 탐색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주식에 대해서는 유지하겠다는 비율이 64.5%, 늘리겠다는 비중이 24.5%로 다른 금융자산에 비해 투자 확대 비중이 그나마 높았다.

부자들이 꼽은 장기적으로 수익이 기대되는 유망 금융투자처는 주식이었다. 금융 투자처를 1순위만 선택한 경우 주식이 57.1%로 절반이 넘었다. 투자 및 저축성 보험이 17.6%, 펀드가 14.3%였다. 1,2,3순위까지 복수로 선택한 경우도 주식이 61.6%로 가장 높았다.

부자들의 해외자산 투자에 대한 인식은 어떨까. 부정적인 태도가 많았다. 총자산 50억 미만 부자는 해외투자에 31.7%가 긍정, 41.4%가 부정적이었고 50억 이상 부자는 33.5%가 긍정, 45.7%가 부정적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한 탈세계화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된 여파로 분석된다.



그렇다면 부자들은 어떻게 자산을 축적할 수 있었을까. 1개만 선택하라고 했을 경우 노동에 의한 사업소득이 37.5%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투자가 25.5%로 뒤를 이었다. 상속증여가 19%였다. 2011년 부의 주된 원천이 부동산 투자라고 응답한 경우가 45.8%로 가장 많았고 사업수익이 28.4%로 뒤를 이었지만 올해는 순위가 바뀌었다. 2010년대 벤처, 스타트업 붐에 따른 성공사례가 나타나며 사업수익으로 부의 원천이 변화한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다만 현 자산 축적에 기여한 주된 방법 2개를 꼽으라고 했을 때는 부동산투자가 63%로 가장 많았고 사업소득이 58.3%로 뒤를 이었다.

코로나19는 부자에게도 타격을 줬다. 코로나19로 부자의 30.5%는 월 가구소득이 감소하는 경험을 했다고 답했다. 소득감소를 경험한 부자 가구는 평균 월 소득이 21.3%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올 상반기 부자의 27.5%는 종합 자산가치 하락을 경험했다. 손실을 경험한 부자의 평균 손실률은 14.2%였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