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에 이어 한국지엠(GM) 노조까지 파업 절차를 밟으면서 자동차 업계의 연쇄 파업 우려가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 노조는 이날 오후 사측과 임단협 교섭을 진행한 뒤 중앙쟁의대책위원회(쟁대위)를 열고 파업 돌입 여부를 논의할 방침이다.
한국GM 노조는 사측과 20여차례 임단협을 진행했지만 임금인상·성과급 지급 규모와 미래발전방안 등에 대한 사측과 입장을 좁히지 못하며 지난 22일 임단협 이후 열린 쟁대위에서 잔업과 특근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사측은 이번 노조의 쟁의 행위 결정에 따라 1,700대 이상의 추가적인 생산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 19)이라는 전대미문의 위기상황인 만큼 노조가 당장 파업을 하진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있지만 이날 쟁대위에서 노조가 사측을 압박하기 위해 극단적인 정책을 구사할 가능성도 있다.
양측의 입장이 종전과 큰 틀에서 차이가 없는 만큼 이날 임단협에서 극적인 타결은 어려울 전망이다.
앞서 노조는 이번 임단협에서 기본급 월 12만304원 인상, 통상임금의 400%에 600만원을 더한 성과급(평균 2,000만원 이상) 지급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올해 220만원, 내년에 200만원의 성과급 또는 격려금을 지급하는 안을 제시해 입장차가 적지않다.
한국 GM 노조마저 파업 움직임을 이어가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의 긴장감도 높아질 전망이다.
이미 기아차 노조는 지난 26일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쟁의조정 신청을 하며 파업 수순에 들어갔다. 노조는 다음 달 3일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
만약 중노위가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리고 조합원 투표 결과 쟁의행위에 찬성하는 조합원의 비율이 50%를 넘을 경우 기아차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기아차 노조는 전기·수소차 모듈 부품 공장의 사내 유치, 잔업 30분 보장, 노동이사제 도입, 통상임금 범위 확대 등을 사측에 제시했으나 교섭에 별다른 진척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르노삼성자동차의 경우 지난 19일 부산공장의 재가동 이후에도 아직 협상을 재개하지 않고 있다. 특히 다음달 초 노조 집행부 선거가 예정돼 있어 협상을 이어가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르노삼성 노조는 지난 16일 중앙노동위원회가 노사 임단협과 관련한 쟁의 조정에서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림에 따라 쟁의권을 확보했다. 다만 파업을 하려면 총회를 열고 조합원 찬반 투표를 거쳐야 하므로 당장 파업에 들어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