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T, 음성기반 치매진단 프로그램 개발

AI가 사람의 음성을 듣고 치매 여부를 판별

스마트폰 앱으로 비대면 테스트 가능

한 어르신이 2일 SK텔레콤과 서울대 의과대학이 개발한 인공지능(AI) 음성 기반 치매 선별 프로그램을 이용해 치매여부를 테스트 받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AI가 환자의 음성 특징을 파악해 치매 여부를 판단한다. 앞으로 문법조성, 언어반복 등 치매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과 심박수·혈압 등도 함께 분석할 수 있도록 해 정확성을 높일 계획이다. /사진제공=SK텔레콤한 어르신이 2일 SK텔레콤과 서울대 의과대학이 개발한 인공지능(AI) 음성 기반 치매 선별 프로그램을 이용해 치매여부를 테스트 받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AI가 환자의 음성 특징을 파악해 치매 여부를 판단한다. 앞으로 문법조성, 언어반복 등 치매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과 심박수·혈압 등도 함께 분석할 수 있도록 해 정확성을 높일 계획이다. /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017670)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음성 기반 치매 선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상용 환경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AI가 사람의 음성을 듣고 치매 여부를 판별한다. 사람의 음성은 성도를 거치면서 증폭되거나 감쇠하는데, 치매 환자의 경우 달라지는 음성의 특징을 AI가 분석해 판단하는 방식이다.


이 프로그램은 비대면으로 치매를 선별할 수 있어 진단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앱 형태로 개발돼 기기를 구입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 소속 전문의 및 임상심리전문가와 함께 이달부터 종합병원 및 치매안심센터에서 프로그램을 검증하고, 이를 통해 치매 선별 정확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문법 조성이나 언어 반복 등 치매 환자의 언어적 특징과 얼굴 인식, 심박수 및 혈압 등 추가 정보를 활용한 진화한 AI 치매 선별 프로그램도 내년 선보일 계획이다.

김윤 SKT CTO는 “의과대학과 공동으로 의학 프로그램을 상용 환경에서 검증하게 된 것은 AI 헬스케어 분야의 큰 진전”이라며 “앞으로도 취약 계층 지원 등 사회에 기여하는 AI를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준영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는 “치매를 앓는 어르신들은 말씀이나 목소리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나 음성을 정량화해 진단에 활용하는 것은 그동안 쉽지 않았다”며 “음성 기반 치매 진단법은 치매 조기 진단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