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인터뷰]'도굴' 조우진 "'여 썰고' 아닌 모자만 기억해주셔도 감사해요"

/사진=CJ엔터테인먼트/사진=CJ엔터테인먼트



“‘내부자들’ 당시만 해도 사람들이 말을 안 걸었어요. ‘도깨비’를 하면서부터는 가까이 오지는 않아도 무서워 하지는 않으시더라고요. 여전히 ‘여 썰고’ 하시면서 많이들 알아봐 주세요. 그만큼의 시그니처 대사를 만들어야 할 것 같아요. 이제는 ‘여 썰고’ 말고 (인디애나 존스) 모자만 기억해주셔도 감사할 따름이에요.(웃음)”

배우 조우진을 떠올리면 영화 ‘내부자들’에서 무미건조한 표정과 말투로 “여기 썰고”라고 지시하는 게 눈앞에 그려진다. 워낙 강렬한 인상을 남긴 탓에 아직까지도 그를 ‘내부자들’의 조상무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후 연기 변신을 갈망했던 조우진은 다양한 작품과 캐릭터를 통해 대중과 만나왔다. 그런 그가 오는 4일 개봉하는 ‘도굴’을 통해서는 잔망미와 허세가 가득한 동네 아재로 완전히 변신했다.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조우진은 ‘도굴’에 대해“귀엽고 밝은, 부담 없이 편하게 장난감 갖고 놀듯이 즐길 수 있는 영화가 나온 것 같아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도굴’은 흙 맛만 봐도 보물을 찾아내는 타고난 천재 도굴꾼 강동구(이제훈)가 고분벽화 도굴 전문가 존스 박사(조우진), 전설의 삽질 달인 삽다리(임원희)와 한 팀을 이뤄 땅 속에 숨어있는 유물을 파헤치며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영화에서 조우진은 자칭 한국의 ‘인디아나 존스’로 벽화에 대해서는 모르는 게 없는 고군 벽화 도굴 전문가 ‘존스 박사’를 연기했다. “내가 마음만 먹으면 이집트 피라미드도 통째로 옮긴다”며 큰소리 칠 정도로 허세가 가득하다.

“코미디 연기를 했지만, 이번엔 전에 하지 않았던 코미디 연기를 시도했어요. ‘브라더’나 ‘보안관’ 같은 경우는 등장인물들의 관계에서 나오는 코미디를 표현했다면 ‘도굴’은 코미디 설정 자체가 많았어요. 역할이 ‘존스 박사’잖아요. 캐릭터를 제 몸에 맞게 입으면서도 코미디를 어떻게 뽑아낼까 고민이 많았어요. 대사로 표현해야 하는 표정, 상대 배우와의 케미를 풀어내야 했거든요. 캐릭터에 대한 분석 자체가 고민이 깊어지고 다채로워졌다고 해야 할까요.”

/사진=CJ엔터테인먼트/사진=CJ엔터테인먼트


조우진은 존스 박사 캐릭터를 만들어내기 위해 착장부터 애드리브 하나하나까지 박정배 감독과 상의를 통해 구축해나갔다. 그는 존스 박사 캐릭터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 인디애나 존스 모자도 직접 미술팀에 요청했다. 특히 어릴 적 봐온 삼촌들의 모습에서 존스 박사의 모습을 가져왔다고 그는 설명했다.

“존스 박사는 아재 같은, 잔망미가 넘치는 캐릭터에요. 감독님께서는 호감형의 안쓰러움을 표현해주길 바랐죠. 어렸을 때 삼촌들이 술을 드시다가 일어나서 인디애나 존스를 흉내 냈던 기억이 떠올랐어요. 그 어린 나이에도 삼촌들이 재미있기도 하면서 안쓰럽고 짠했어요. 그분들의 ‘갬성’을 가져와 체화시켜 보여드리면 되겠다 싶었죠. 벽화를 떼어낼 때는 최대한 진중했고, 또 액션 연기를 할 때는 무게감을 뺐어요. 머리 맞대고 고민한 결과들이에요. 이런 것들이 관객분들을 웃음 짓게 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큰 웃음 빅 재미는 아니더라도 웃음소리가 적지 않게 들리더라고요. 영 잘못하진 않았구나 싶었어요.


드라마 ‘도깨비’에서 김비서 역으로 코믹 연기를 해보긴 했으나 ‘도굴’의 코믹 연기는 또 달랐다. 관객의 웃음을 책임져야 하는 역할이라 부담감이 컸던 것이다. 조우진은 코믹 연기의 어려움을 ‘진정성’을 통해 답을 찾아갔다 .

관련기사



“욕심을 내고, 의도한다고 해서 반응을 끌어내는 건 어렵더라고요. 코미디의 힘은 진정성에서 나온다고 생각해요. 웃길 생각 없이 진지하게 했을 때 오히려 반응들이 크게 오더라고요. 그러다 보니 웃기려고 들면 장면과 캐릭터들에 맞지 않는 호흡이 들어가고, 보는 사람들이 과하게 느껴질 수 있거든요. 이 지점을 경계하고 웃음을 끌어내는 방법은 진성성 밖에 없더라고요.”

진정성을 파고들어 자신만의 코믹 연기를 만들어낸 조우진이다. 그에게 자신의 코믹 연기를 점수로 매겨달라고 하자 “100점 만점에 50점을 주고싶다”고 했다.

“사실은 30점인데 너무 자학한다고 느껴질까봐 50점을 주고 싶어요. 저한테도 자신감을 심어줄 만한 계기가 필요하거든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아요. 다양한 감정과 캐릭터들에 대한 끊임 없는 연구를 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코미디 영화를 싫어하지는 않는데 즐겨보진 않았어요. 이제는 취향 자체를 확장 시키고, 연구를 끊임없이 해야겠다 싶어요. 시사회를 보고 나왔을 때 느낀 점은 앞으로 해야 할 숙제가 더 많이 생겼다는 것이에요.”

/사진=CJ엔터테인먼트/사진=CJ엔터테인먼트


조우진은 영화 ‘보안관’을 촬영할 당시 코믹연기를 처음 도전하던 때를 떠올리기도 했다.

“정말 편한 연기는 없는 것 같아요. ‘보안관’ 촬영 당시에 거의 울면서 찍었어요. 울었다고 하면 사람들이 의외라고 얘기하는데 저에게는 고행이었어요. 당시 경험이 뒷받침됐는지 ‘도굴’은 덜 힘들었던 것 같아요. 존스 박사는 캐릭터가 확실하잖아요. 여러 도움을 받은 것도 있고, 제가 표현하고자 했던 것을 보태면 되는 거였거든요. 제가 생각하는 좋은 연기는 관객들이 보기 편한 연기예요. 관객분들도 잣대가 높아졌어요. 연기를 바라보는 시선도 날카로워지고, 반응도 즉각적이에요. 배우는 공감을 무기로 해야 하는 일이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고민도 많이 해야 하고, 다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이에요”

‘내부자들’ 이후에 ‘국가부도의 날’, ‘도깨비’, ‘봉오동 전투’ , ‘미스터 선샤인’ 등 많은 작품을 통해 쉼 없이 연기를 펼친 조우진이다. ‘도굴’ 외에도 12월 ‘서복’ 개봉도 앞두고 있다. 그는 ‘새로운 것’에 대한 동경이 열정적으로 일을 할 수 있게 된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영화를 좋아하는 지는 알았지만, 생각보다 많이 좋아하고 있는 저를 발견했어요. 그래서 여기까지 계속 달려온 것 같아요. 알고 싶은 것, 경험해보고 싶은 것, 모르는 투성이가 더 많다는 것. 그런 것들에 대한 갈망과 욕구가 동경으로 이어져 오고 있고, 계속 새로운 인물과 작품을 통해 관객들과 소통하고 싶어요. 작품을 끊임없이 논할 수 있는 자체가 행복하고 감사해요. 더군다나 어려운 시국에 개봉을 못하는 영화도 많잖아요. 그런 상황에서 영화 개봉을 앞두고 있고, 복에 겨운 느낌이에요. 그저 고맙고.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밖에 없어요.”

이혜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