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환경·에너지벤처 100곳 '그린 유니콘'으로 키운다

2022년까지 '그린 뉴딜' 유망기업

기술개발·보증 등 최대30억 지원

중기부·환경부, 41곳 우선 선정

정부가 2022년까지 환경·에너지 분야 유망기업 100개를 선정해 기술개발과 사업화 등을 위한 자금지원 등에 나선다. 이 분야에서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 기업을 의미하는 ‘그린 유니콘’이 나올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3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환경부는 ‘그린뉴딜 유망 기업 100’ 지원 사업에 우선 선정된 41개 기업을 발표하고 “2022년까지 환경 및 에너지 분야 유망기업 100개를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100개 기업에 대해서는 기술개발과 사업화 등을 위한 자금과 보증, 정책자금 등을 연계해 3년간 최대 30억 원 이상을 지원한다.


국내 유니콘은 쿠팡이나 무신사, 야놀자 등 20개에 달하지만 대부분 플랫폼 형태이고, 환경이나 에너지 등 제조분야, 그 중에서도 ‘그린 유니콘’은 전무하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 정부는 ‘그린 뉴딜 유망 기업 100’ 지원 사업을 통해 창업 저변을 확충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또 ‘그린스타트업 2000’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신설해 그린분야 창업기업 2,000개를 발굴해 교육, 사업화, 투자유치 등을 지원한다. 또 3,000억 원 가량의 그린 펀드를 조성한다. 환경부의 ‘미래환경산업 투자펀드(2,150억 원)’, 중기부의 스마트대한민국 내 그린펀드(1,000억 원) 등 그린기업 전용 벤처펀드 3,000억원을 조성해 유망 그린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관련기사



공공수요 기반의 시장도 창출할 계획이다. 그린 분야 혁신제품의 초기 시장창출 지원을 위해 ’혁신제품‘에 대한 국가·공공기관 시범구매 규모와 ’우수 국가 연구개발(R&D) 혁신제품 지정제도‘ 참여 부처를 늘릴 예정이다.

2조4,000억 원의 금융 지원도 계획 중이다. 녹색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자금 1조9,000억 원과 신재생에너지기업 특별보증 5,000억 원 등 총 2조 4,0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환경분야 특성화대학원과 특성화고 등을 통해 기업현장 맞춤형 연구·기술·실무 인력 2만 명을 육성하고, 2022년까지 100개의 공장을 친환경 설비와 첨단 정보통신기술(스마트제어 등)을 갖춘 친환경 제조공장의 선도모델(스마트 생태공장)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그린 중소기업이 대기업·공기업의 기반시설·협력창구 등을 활용해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수 있도록 상생협력형 해외진출 지원을 확대한다.

2025년까지 5개 이상의 그린특구를 추가 지정하여 현재 9개인 특구를 14개로 늘리고, 특구 내 기업들의 성장기반 마련을 위한 전용 기술개발과 규제자유특구펀드(350억원)도 조성·운영할 계획이다. 규제 및 제도 개선, 지원 효율성 제고 등 성장 기반을 확충한다. 환경부의 ’녹색산업 혁신성장 옴부즈만‘과 중기부의 ’중소기업 옴부즈만‘이 협력해 기업현장의 규제 및 애로를 상시 발굴하고 해결하는 협의체를 구성·운영한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