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정여울의 언어정담] 그네가 없는 동네에서 산다는 것

<작가>

어린 시절 혼자만의 슬픔이던 콤플렉스

같은 아픔 가진 이와 나누자 온기 스며

가슴 속 응어리가 가슴 시린 추억으로

d



어린 시절 ‘그네가 있는 놀이터’는 나에게 눈부신 로망이었다. 안타깝게도 우리 동네엔 그네가 있는 놀이터가 없었다. 심지어 학교에는 철봉과 정글짐만 가득했다. 철봉과 정글짐밖에 없는 학교 운동장은 썰렁하기 그지 없었다. 마치 만두 속 없는 만두피 같았다. “에이, 정글짐은 재미없는데.” 나는 투덜거리며 동화책이나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그네 타는 장면을 마치 천상의 유토피아라도 되는 듯 홀린 눈빛으로 바라보았다. 친척 집에 들렀다가 발견한 그네가 있는 놀이터는 말 그대로 천국이었다. 낯선 곳에서 그네만 발견하면 집으로 돌아오려 하지 않았다. 어른이 돼서야 그네가 있는 놀이터가 있는 동네에 정착한 나는 아이들 없는 틈을 타 몰래 그네를 타며 벅찬 기쁨의 미소를 짓기도 했다. 아이들이 보면 부끄러우니까. 다 큰 어른이 그네를 향한 집착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을 보면 아이들이 얼마나 우스워할까. 나는 하늘 높이 올라가는 그네에 몸을 싣고 몰래 꿀이라도 훔쳐 먹은 아이처럼 은밀한 미소를 지었다. 그런 나를 본 친구는 혀를 끌끌 찼다. “그 흔한 그네가 그렇게 좋더냐?” “무슨 그네 하나를 목숨 걸고 타냐?” 머쓱했지만, 그래도 좋았다. 그네가 힘차게 창공을 향해 날아오를 때마다, 내 몸과 마음도 온갖 근심을 내려놓은 채 하늘 높이 도약하는 것만 같았다. 그 순간 나는 지상의 모든 슬픔을 그네 아래에 내려놓고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힘찬 새가 되는 느낌이니까.


왜 그토록 그네에 집착했을까. 내 눈에는 그네가 세상에서 가장 평등한 놀이기구 같았다. 물론 어린 시절에는 그네조차 없는 동네가 많았지만. 그네는 놀이공원의 바이킹이나 롤러코스터처럼 돈을 내지 않고도, 무료로 하늘 높이 날아오를 수 있는 최고의 놀이도구니까. 그래서 요즘은 아파트 단지마다 그네가 있고, 그네 있는 놀이터가 많아 참 좋다. 그네를 전혀 소중히 여기지 않는 아이들이 야속할 정도로. 무릇 그네란 서로 더 오래 타겠다며 싸우는 맛이 있어야 하는데. 알고 보니 그네에 한 맺힌 사람은 내 주변에도 많았다. 제부는 아파트 단지의 그네를 타면서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의 주인공 제제처럼, 슬프도록 환한 미소를 지었다. 왜 그렇게 슬프게 미소를 짓는가 했더니, 제부도 어린 시절 그네 있는 동네에 사는 애들이 그렇게 부러웠단다. “지금이라도 그네 탈 수 있으니, 행복해요?” 행복하단다. 무지 무지 좋아 죽겠단다. 우리 자매들은 그 어린애 같은 미소에 깔깔 웃으며 ‘그네가 뭐라고 이렇게들 한이 맺혔냐’며 서로 위로해 준다. 내 동생은 20살 때 그네를 처음으로 타봤단다.

관련기사



그래서인지 우리 세 자매는 그네를 탈 수 있을 때마다 거의 사생결단이라도 하듯이 1분이라도 더 타겠다며 안달을 한다. 나이 마흔이 넘어서도 이러니 어린 시절의 콤플렉스는 그렇게 쉽게 없어지는 것 같지가 않다. 그럼에도 다행인 것은 ‘콤플렉스를 함께 나누는 것’에는 특별한 온기가 서린다는 점이다. 단옷날 맵시 있게 한복을 떨쳐입고 그네를 타는 춘향의 펄럭이는 치맛자락을 바라보며 달콤한 사랑의 환상에 빠지는 이몽룡처럼, 우리는 그네를 타는 사람들만 봐도 아름답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한껏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그네도 없는 동네에서 살다니’라는 친구들의 시선이 슬펐던 어린 나는 이제 ‘그네만 바라보고 있어도 행복한 어른’이 됐다. 그네를 별로 신기하지 않게 바라보는 아이들을 보면 ‘요즘 아이들은 그네만 있어도 거기가 바로 천국이라는 걸 모르는 구나’ 싶어 안타까워진다. 우리가 남몰래 겪었던 각자의 콤플렉스를 이렇게 모여 수다를 떨며 공유하니, 그것은 더 이상 혼자만의 슬픔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함께 보살펴야 할 어린 시절의 내면아이가 됐다. 그네가 그토록 타고 싶었다는 제부가 그날따라 한 뼘 더 친해진 느낌이었다. 콤플렉스를 거리낌 없이 나눌 수 있는 사이, 그런 사이야말로 진정한 우정이 싹트는 관계가 아닐까. 한때는 뼈아픈 콤플렉스였던 것이 이제는 가슴 시린 추억이 되었다.

정여울 작가정여울 작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