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스포츠 라이프

수술 전후 아스피린 등 복용 장기간 중단 환자, 심근경색으로 사망

2개 혈전방지 약물 복용해온 60대

무릎수술 앞두고 복용력 확인 소홀

수술 연기로 총 18일·11일 복용중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주의경보' 발령

무릎 인공관절수술을 앞둔 60대 남성 A씨. 외래진료 때 의사가 “수술시 출혈 위험이 있으니 아스피린(항혈소판제)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해 입원일까지 7일 동안 아스피린을 끊었다. 그런데 수술 하루 전 입원했더니 ‘수술 전 위험평가’에서 A씨가 항혈소판제인 클로피도그렐도 복용해왔고 심전도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됐다며 수술을 미뤘다. ‘수술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A씨는 내과 협진에서 “수술 후 빠른 시일 안에 항혈소판제 복용을 재개해야 한다”는 설명을 들었다.




의사는 A씨에게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을 수술 당일까지 7일간 추가로 복용 중단하도록 했고 수술 후에도 두 약물 복용중단을 이어가며 경과를 살폈다. 하지만 A씨는 수술 후 4일째 되던 날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수술 연기로 아스피린은 총 18일간, 클로피도그렐은 총 11일간 복용중단 상태였다. 기본적인 의약품 복용력 확인이 소홀했던 셈이다.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은 이런 사례가 잇따르자 ‘수술·시술 전후 항혈전제(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 투약관리 오류’와 관련한 ‘환자안전 주의경보’를 발령했다. 안전사고 예방과 재발방지를 위해서다. 특히 “가급적 질환별 항혈전제 적응증을 담당하는 내과·신경과 등 전문의와 협진하고, 수술·시술 후 출혈 위험이 안정되면 가급적 빠른 시일 안에 항혈전제 투약을 재개해달라”고 당부했다.


항혈전제 복용 환자에게 수술·시술을 이유로 필요 이상의 기간 동안 항혈전제 복용을 중단하면 뇌경색·심근경색 등 각종 혈전증과 혈관질환, 출혈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런 사실과 항혈전제 복용 재개 일정을 환자에게 미리 설명하고 출혈 위험이 안정되면 가급적 빨리 항혈전제 복용을 재개하도록 조치하라는 취지다.

관련기사





인증원에 따르면 침습적 시술·수술을 앞둔 환자에게 △미국은 아스피린 7~10일, 클로피도그렐 5일, 와파린(항응고제) 1~8일, 저분자량 헤파린 24시간 △유럽은 클로피도그렐은 5일, 티카그렐러 3일 동안 항혈전제 복용중단을 권고하고 있다. 임영진 인증원장은 “항혈전제 중단·재개 계획을 마련할 때 질환별 항혈전제 적응증을 담당하는 진료과와 수술·시술을 시행하는 진료과 등이 협진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며 “환자에 대한 명확한 복약 지도와 의료진 간의 정확한 인수인계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항혈전제는 협심증·심근경색·뇌경색 등의 예방 및 재발방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스텐트(금속망)을 넣어줘 넓혀주는 시술이나 심장판막수술 등을 한 뒤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혈전은 1단계로 혈관 손상 부위에 혈소판이 달라붙어 덩어리를 만드는 혈소판 응집, 2단계로 혈액응고 단백질이 ‘섬유소 망’을 형성해 단단히 뭉쳐지는 혈액응고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 1단계를 억제하는 약물을 항혈소판제, 2단계를 억제하는 약물을 항응고제라고 한다. 항혈소판제는 지혈을 더디게 하고, 항응고제는 출혈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수술 등을 하기 전에 미리 복용을 중단한다.

심근경색·협심증 환자 등은 재발을 막기 위해 평생 항혈소판제를 복용해야 하는데 관절염 등을 동시에 앓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를 함께 복용할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심근경색·뇌경색 등 심혈관사건 발생 위험이 7배, 뇌·위장관·호흡기·비뇨기 등 출혈사건 발생 위험이 4배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