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나경원 "코로나 백신 무료접종, 가장 강력한 '경기부양책'"

"문재인 정권, '대통령 무오류설'에서 벗어나야"

'백신접종 긴급 여야정협의체' 구성해야할 때"

나경원 전 의원/ 연합뉴스나경원 전 의원/ 연합뉴스



나경원 전 의원이 30일 “정부와 국회는 긴급 여야정협의체를 구성하고 코로나19 백신 무료접종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모더나 2천만 명 분 백신 확보 소식에 조금이나마 위안이 된다”며 “아무 문제없다, 걱정 없다던 정권이 국민의 따가운 질책을 받고서야 뒤늦게 움직였다”고 정부를 향해 거세게 비판했다. 그는 “문재인 정권은 ‘대통령 무오류설’ 신화에서 제발 벗어나기 바란다”며 “이미 주요 나라의 국민들이 백신을 접종하고 있는 화면을 국민들이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들에게 미안해하기는커녕 정권홍보에만 열을 올리는 모습은 보기 좋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나 전 의원은 “백신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결국 마지막 관문은 ‘접종 효과의 극대화’일 것”이라며 “백신을 사기만 해놓고 접종이 지연되고 혼선이 빚어지면 그만큼 코로나 위기는 장기화된다”고 접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따라서 백신 접종을 통해 코로나19 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의 신속성을 높이고 국민의 접종률을 대거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지난 독감백신 접종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백신에 대한 불신, 불안이 접종 거부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코로나 백신 접종에서도 충분히 재현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고 우려했다. 나 전 의원은 “또한 백신 접종 비용이 특정 계층에게 경제적 부담이 된다면 자칫 우리 사회에서 ‘백신 디바이드(백신 격차)’가 발생할 소지도 있다”며 “‘돈이 부족해서 백신을 맞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결코 나와선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더 큰 문제는 ‘누가 어떤 백신을 맞느냐‘”라며 “정부가 초기에 확보했다던 아스트라제네카는 평균 예방률이 70%로 화이자·모더나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고, 여전히 미국 FDA 승인을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유럽연합에 사용승인 신청조차 하지 않았다고 한다”며 “전문가들도 입을 모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불안정성을 지적한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나 전 의원은 “누구는 아스트라제네카를 맞고, 누구는 화이자·모더나를 맞고, 거기서 초래되는 박탈감과 사회적 갈등. 생각만해도 마음이 무거워진다”고 염려했다. 이에 따라 그는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며 “백신 확보전에서는 다소 늦었지만, 성공적이고 안정적인 백신 접종 실시만큼은 놓쳐선 안 된다”고 촉구했다.

나 전 의원은 해결방법으로 ’백신접종 긴급 여야정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또 코로나19 백신 무료 접종 예산을 확보하고 국민들을 안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 전 의원은 “코로나 위기를 하루라도 빨리 종식시켜야 경제가 살고 시장이 삽니다. 백신 무료 접종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경기부양책”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K방역의 성공은 곧 K국민 방역의 성공”이었다며 “우수한 시민의식을 보여준 국민, 뛰어난 역량으로 헌신을 마다하지 않은 의료진, 현장에서 땀 흘려가며 움직인 일선 공무원들이 바로 K국민 방역의 성공 열쇠”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혜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