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민의힘도 '정인아 미안해'…무심한 아동학대 보호체계 비판

김종인 "사건 책임자에 엄벌을 내려야"

김미애 "제도만 믿고 사회적 방임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양부모의 학대로 짧은 생을 마감한 만 16개월 정인이 사건을 애도하며 “정인아 미안해”라고 적힌 종이를 들어 보여주고 있다. /권욱기자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양부모의 학대로 짧은 생을 마감한 만 16개월 정인이 사건을 애도하며 “정인아 미안해”라고 적힌 종이를 들어 보여주고 있다. /권욱기자



국민의힘도 4일 양부모의 아동학대로 사망한 16개월 故 정인양의 사건에 대해 “진상 규명을 통해 이 사건의 책임자에 대한 엄벌을 내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이웃과 어린이집, 소아과에서 아동학대를 신고했지만 경찰이 안이한 태도를 보였고 결국 아이가 죽음에 이르게 됐다”며 해당 사건을 담당한 양천경찰서의 미숙한 대응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인이 사건의 실체가 밝혀지면서 많은 국민들이 분노하고 있다”며 “정인이에게 미안함 마음”이라고 한탄했다.


그는 “법제도 정비는 물론 시스템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며 “정치권도 역할을 다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정인아 미안해’라고 자필로 적은 종이를 들어보이며 ‘정인아 미안해’ 챌린지에 동참했다.

관련기사



김미애 국민의힘 약자와의동행위원회 위원장이자 비대위원. /연합뉴스김미애 국민의힘 약자와의동행위원회 위원장이자 비대위원. /연합뉴스


자녀를 입양해 키우고 있는 김미애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 역시 이날 “학대로 죽임을 당하는 정인이를 둘러싼 국가 보호체계는 왜 그렇게 무심하게 작동했는지, 아무리 좋은 다양한 제도가 있어도 이를 적용하는 사회가 바뀌지 않으면 우리 모두 그 제도만 믿고 안심하면서 사회적 방임을 하고 있지는 않느냐”고 반성했다.

아울러 “아이의 쇄골이 부러졌다, 갈비뼈가 부러졌다 이것이 어떻게 학대치사가 되느냐”며 양부모를 아동학대 치사죄가 아닌 살인죄 혐의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