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대통령 11일 신년사...'국민통합' '대북' 메시지에 주목

사면론 등 통합 관련 구체화 하나

'핵무장 공고' 北 대응수위 고민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화상으로 열린 ‘2021년 신년 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화상으로 열린 ‘2021년 신년 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전 청와대에서 2021년 새해 신년사를 발표한다. 올해 집권 5년차를 맞은 문 대통령의 새해 국정 기조가 담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앞서 신년인사회에서 언급한 ‘통합’과 관련한 구체적 언급이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아울러 ‘주적’ 미국에 맞서 핵 무장 의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우리 측의 방역 협력 제안도 ‘비본질적인 문제’라 평가 절하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메시지에 대한 대응 수위가 주목된다.

10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올해 신년사 키워드는 ‘상생협력을 통한 일상회복’과 ‘선도국가로의 도약’이다. 문 대통령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방역과 경제에서 우리가 선방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올해 도입될 백신·치료제 등에 대한 기대와 ‘한국판 뉴딜’을 통한 경기 부양을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큰 틀에서 신년사의 방향은 정해졌으나 문 대통령이 주말에도 신년사 문구를 직접 수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는 새해 들어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불을 지핀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특별사면에 대한 문 대통령의 의중이 신년사에 담길지 주목하고 있다. 문 대통령이 앞서 신년인사회에서 “새해는 통합의 해”라고 언급한 것을 두고 정치권의 갖가지 관측이 이어지고 있으나, 청와대 내부는 이에 대해 사실상 함구령이 내려진 상태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대법원 선고가 14일 예고된 가운데 선고 이후에야 문 대통령과 청와대의 입장이 명확히 정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조선중앙통신은 10일 전날 열린 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사업총화 토론과 당 중앙검사위원회 사업총화, 당 규약 개정이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당규약 개정에 따라 당 정무국은 비서국으로, 당 위원회 위원장은 책임비서로 이름을 바꾼다. 이는 5년 전 체제로 회귀하는 것이다. 사진은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1면에 실린 주석단 모습. 2021.1.10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쳐]/사진=연합뉴스조선중앙통신은 10일 전날 열린 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사업총화 토론과 당 중앙검사위원회 사업총화, 당 규약 개정이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당규약 개정에 따라 당 정무국은 비서국으로, 당 위원회 위원장은 책임비서로 이름을 바꾼다. 이는 5년 전 체제로 회귀하는 것이다. 사진은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1면에 실린 주석단 모습. 2021.1.10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쳐]/사진=연합뉴스


아울러 김 위원장이 북한 노동당 8차 대회 사업총화보고 과정에서 쏟아낸 발언들에 대해 문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 관심이다. 김 위원장은 핵잠수함 개발을 공식화하고 미국까지 닿을 수 있는 미사일 기술을 과시하는 한편, 대내적으로는 경제 실패를 자인하고 자력갱생을 중심으로 한 새 5개년 계획을 제시했다.

또 남북관계도 ‘판문전 선언 발표 이전 시기’로 돌아갔다고 진단하고, 첨단군사 장비반입과 미국과의 합동군사연습 중지 등 우리 정부가 수용하기 어려운 사안들을 재차 요구했다. 다만 ‘남조선 당국의 태도 여하에 따라 ’ 라는 단서를 달면서 남북 관계 개선의 여지는 미묘하게 남겨놓았다.

이와 관련 문 대통령은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남북이 현 상황을 신중히 관리해나가자 취지의 메시지를 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최근 “여건이 허용한다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남북 관계의 발전을 위해서도 마지막까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신년사 발표에 이어 이달 중순께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구체적인 국정 운영 기조를 설명할 예정이다. 추미애-윤석열 갈등을 비롯해 전직 대통령 사면 문제, 남북 및 한미 관계 구상 등이 기자회견에서 다뤄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