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닭고기 트럭으로 백신 운반"…볼리비아 '열악한 수송 인프라'에 시끌

당국 "수송차량 고장나 급히 냉장차량 수소문…소독·생물보안 규정도 준수"

남미 볼리비아에서 닭고기를 운반하는 낡은 트럭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운송해 논란이 일었다./로이터연합뉴스남미 볼리비아에서 닭고기를 운반하는 낡은 트럭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운송해 논란이 일었다./로이터연합뉴스




남미 볼리비아에서 닭고기를 운반하는 낡은 트럭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운송해 논란이 일었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EFE통신 등에 따르면 전날 볼리비아 중부 트리니다드에서 항공편으로 도착한 백신이 닭고기를 운반하는 차량에 옮겨져 수송되는 장면이 연출됐다. 트럭 옆면에는 닭고기 업체 이름도 그대로 적혀 있었다. 볼리비아 정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역 보건당국이 준비했던 백신 수송차량에 문제가 생겨 긴급하게 냉장차량을 가진 업체들을 수소문했다"고 설명했다. 백신을 싣기 전에 차량 소독을 마치고 생물보안 규정도 준수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닭고기 대신 실렸던 백신은 러시아가 개발한 스푸트니크 V 백신이다. 스푸트니크 V 백신은 영하 18도 이하에서, 동결건조된 상태로는 영상 2∼8도에서 보관과 운반이 가능해 비교적 취급이 까다롭지 않은 편이다. 예기치 못한 상황의 미봉책이었다고 해도 개발도상국의 열악한 수송 인프라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장면에 볼리비아 내에선 논란이 일었다. 현 정부에 비판적인 아르투로 무리요 전 내무장관은 트위터에 "검증되지 않은 러시아 백신을 운반해준 닭고기 업체에 고마움을 전한다"며 정부가 철저한 대비 부족을 겨냥했다.

볼리비아는 지난달 29일 러시아 백신 첫 물량 2만회분을 받아 의료진을 중심으로 접종을 시작했다. 볼리비아는 이달 중 화이자 백신 9만 2,430회분도 받을 예정이다. 현지 일간 엘베데르는 초저온 유통이 필요한 화이자 백신 등 앞으로 더 많은 백신이 도착할 상황에 대비해 콜드체인(냉장유통)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전했다. 반면 온도 등의 요건만 맞으면 어떤 차량이 동원되는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고 EFE통신은 보도했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