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 2,900억 들여 '스마트 축산' 68개 사업 추진

ICT 융복합·시설 현대화 등

에코팜랜드 내년 3월 준공

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




경기도는 ‘스마트 축산’을 조기에 구현하기 올해 2,900여억원을 들여 에코팜랜드 조성과 친환경 축산 기반 구축 등 68개 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도는 우선 축산산업 기반 안정과 신기술 확대를 위해 축산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시설 현대화, 에코팜랜드 조성 등 3개 사업에 1,436억원을 투자한다. 오는 2022년 3월 준공 예정인 에코팜랜드는 미래형 농축산관광단지다. 지난 12년 간의 표류 끝에 지난해 11월 첫 삽을 떴다.

관련기사



축종별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경기 한우 명품화, 축종별 맞춤형 육성, 축산 재해 예방 및 복구, 가축 재해 보험가입 지원 등 15개 사업에 631억원을 투자한다. 친환경·안심 축산 조성 분야로는 축산농가 퇴비 부숙도 검사 의무화, 악취 저감시설 설치, 다용도 분뇨처리 장비 지원, 공동자원화 시설 개·보수 및 아름다운 농장 조성 등 11개 사업에 485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가축분뇨 처리·관리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해 오염원으로 낙인 찍힌 축산업의 이미지를 개선해 지역사회와 공존하는 축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조사료 자급 및 품질관리 분야에서는 유후지 풀사료 생산, 부존자원 사료화, 사료 제조시설 품질안전관리 등 9개 사업에 150억원을 투자해 사료생산과 유통의 품질 관리 강화를 도모한다. 이 밖에 가축개량 및 신성장 축산육성으로 말 산업 관련 19개 사업에 205억원을, 경기도 보증 씨수소 개발 등 축산 연구개발 분야 11개 사업에 21억원을 각각 투자한다. 말 산업과 관련해서는 학생·장애인 승마체험 등 사회공익적 승마환경 조성과 말 산업 청년인턴 취업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도 나선다.

김영수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전국 축산업 중 가장 많은 2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경기도는 가축 분뇨에 따른 악취 민원과 가축 전염병 등으로 갈수록 입지가 좁아지면서 새로운 공존 방향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며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역량을 갖추고 도민과 소통할 수 있는 축산이 되도록 체계적으로 정책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원=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수원=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