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日신문 "韓 동학개미들, 9시 되면 화장실로…일본 거품경제 상황과 닮아"

한국 '동학개미' 투자 열풍 소개…"거품경제 절정기 일본과 흡사"

아사히신문이 9일 자에서 한국의 주식 투자 열풍을 소개했다./아사히신문 웹사이트아사히신문이 9일 자에서 한국의 주식 투자 열풍을 소개했다./아사히신문 웹사이트




일본 아사히신문이 한국에서 불고 있는 주식투자 열풍을 소개하며 일본의 1980년대 말 거품과 닮아있다고 평가했다.



아사히신문은 9일 자에 한국의 주식투자 열풍의 실태와 배경을 상세히 소개하면서 "일본이 1980년대 말 경험한 거품과 닮은 상황으로 언젠가 조정국면이 온다. 거품이 터지면 특히 젊은 사람의 피해가 커질 것이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한국의 주가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도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고, 새해 들어서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주식시장 활황의 주역이 젊은 개인 투자자인 '동학개미'라고 전했다.

아사히는 위험을 안고 투자에 열을 올리는 동학개미의 한 사례로 전자부품 업체에 근무하는 남성(28)을 들었다. 이 직장인은 근무 중 컴퓨터로 업무 관련 이메일을 확인하는 척하면서 인터넷 서핑을 통해 주가가 오를 만한 기업 정보를 찾는다. 그는 "상사 눈을 피해 모두가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결혼해 아이도 갖고 싶다는 그는 300만원 정도인 월급으로는 아파트를 사는 것은 물론이고 교육비도 댈 수 없다면서 금리가 너무 낮아 저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 작년 1월 시작한 것이 주식투자라고 했다. 처음엔 손실을 보기도 했지만 지난 1년간 결국 800만원을 벌었다는 그는 일과 중 휴식 시간에 식당에 모이는 동료들은 주식투자로 이야기꽃을 피운다고 말했다.



또 투자금을 모두 잃은 주변 사람도 있지만, 주식투자를 그만둘 생각은 없다고 했다. 이유는 근로시간 상한을 주 52시간으로 묶은 제도가 올 1월부터 순차적으로 중소기업에도 적용돼 잔업수당을 받을 수 없게 되는 등 달리 기댈만한 수입원이 없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지난 4일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나스닥타워에 '동학개미'를 모티브로 한 삼성증권 한글 광고가 게시됐다./연합뉴스지난 4일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나스닥타워에 '동학개미'를 모티브로 한 삼성증권 한글 광고가 게시됐다./연합뉴스


아사히는 한국에서 주식에 빠져드는 젊은이 중에는 치열한 시험경쟁을 뚫고 서울 소재 유명대학을 거쳐 대기업에 취직한 사람도 예외가 아니라며 오전 9시 주식 거래가 시작되면 젊은 사원들이 화장실로 뛰어 들어가는 현상이 언론에서 다뤄졌다고 전했다. 아사히는 한국에선 이런 20~30대 개인 투자자를 동학개미라고 부른다며 외국인이나 기관에 대항하는 개인 투자자들의 양태를 반영해 19세기 말의 외국자본 진출 등으로 고통받던 농민들이 일으킨 '동학농민혁명'에서 따온 용어라고 소개했다.

이 신문은 KB국민은행 자료를 인용해 작년 12월의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이 1년 전과 비교해 20%나 올라 평당 약 4,030만원이 됐다며 동학개미 출현 배경에는 소득과 비교해 급등한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있다고 분석했다. 아사히는 이런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1일의 신년 연설에서 주가 상승에 대해 "한국 경제의 미래 전망이 밝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며 그날 코스피가 장중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기관과 외국인은 총 4조 4,690억 원어치를 순매도하고 개인은 4조 4,921억 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주식시장을 떠받쳤다고 지적했다.

아사히신문이 9일 자에서 한국의 주식 투자 열풍을 소개했다./연합뉴스아사히신문이 9일 자에서 한국의 주식 투자 열풍을 소개했다./연합뉴스


지난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1%를 기록해 주가가 실물경제를 반영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평가한 아사히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업계 신년회에서 "잠재적 위험이 올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금융완화로 돈이 주식시장에 유입되는 것에 경종을 울렸다고 덧붙였다. 아사히는 이 기사 말미에서 현 한국 상황이 거품경제가 절정을 이뤘던 1980년대 말의 일본을 닮았고, 언젠가 거품이 터지면 젊은 층의 피해가 특히 클 것이라는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의 말을 소개했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