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신한금융, 분기배당 카드로 두 토끼 잡나

당국 '배당성향 20%' 권고 준수

분기배당으로 주주 불만 달래기

상반기 정관변경 등 준비 착수

외국계銀 배당축소 수용여부도 관심





신한금융그룹이 금융 당국과 주주 모두를 만족시키는 카드로 분기 배당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금융 당국이 권고한 배당성향 20%라는 가이드라인도 지키면서 성난 주주들을 달랠 당근책으로 분기 배당을 내놓고 상반기 중 정관 변경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금융 투자 업계에서는 반기 실적을 발표하며 분기 배당 규모도 확정할 것으로 내다봤다.



14일 신한금융에 따르면 지주 출범 이래 연간 실적을 발표하며 배당 규모를 정하지 못한 것은 지난 2009년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당시에는 2008년 금융위기 탓에 실적 공시 열흘 이후에야 배당 규모가 확정됐다. 당시 배당성향은 전기(2007년) 25.89%에서 반토막 난 12.13%였다.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도 3조 4,146억 원이라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익이 늘어난 만큼 배당을 늘릴 여지도 충분하다.

발목을 잡은 것은 금융 당국이다.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28일 금융 지주, 은행권에 오는 6월 말까지 배당 자제를 공식 권고했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은 “일반적인 상황이면 이렇게 하지 않았겠지만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은행권의 자금 중개 기능을 보존하고 활성하는 게 필요했다”며 “자본의 건전성을 지키는 것은 은행만의 문제가 아니고 제2금융권도 해당되는 만큼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합리적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은 유일하게 금융 당국의 스트레스 테스트(자산 건전성 평가)를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미 지난해 최대 실적을 갈아치운 KB와 하나금융도 배당성향을 20%로 정하며 금융위의 의견을 따랐다. 금융 투자 업계에서는 신한금융이 21~22% 수준에서 배당성향을 정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5일 콘퍼런스콜에서 노용훈 부사장은 “(금융 당국의 권고가) 법적인 구속력은 없다”면서도 “금융기관이 권고를 많이 벗어나게 된다면 감독 당국과 향후 커뮤니케이션하는 데 어려워 보인다”고 토로했다.

관련기사



문제는 주주들의 반발이다. 개인 투자자는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올리며 반발하고 있고 외국인 투자가 역시 배당 확대를 기대하며 지분 투자에 나선 만큼 배당을 늘리기는커녕 축소해야 하는 신한금융 입장에서는 고민이 깊을 수 밖에 없다.

분기 배당이 해결책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배당성향을 20%로 맞추는 대신 금융당국이 정한 6월 이후, 즉 올해 하반기부터는 배당 규모를 원년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나눠주지 못한 만큼의 이익을 분기 배당으로 돌려줘 주주들의 불만을 잠재울 것으로 보인다.

신한금융은 상반기에는 일단 가계 대출 규모가 늘어나지 않는 데 주력하고 건전성을 유지하는 한편 분기 배당을 위한 준비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노 부사장은 “정관에 분기 배당할 수 있는 근거가 없기 때문에 정관을 개정할 예정”이라며 “예상하건대 하반기에는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보이고 이를 위해 상반기에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외국계 은행도 금융 당국의 배당 권고를 따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씨티은행과 SC제일은행은 3월에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 배당을 확정할 예정인데 외국계 은행의 배당성향은 그간 국내 시중 은행들보다 크게 높았다.

한국씨티은행은 일회성 요인이 반영된 2018년(303.4%)을 제외하면 2017년과 2018년은 35%로 높은 편이었고 2019년에는 22.2%의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SC제일은행은 2019년(208.3%)을 비롯해 2017년(45.68%), 2018년(50.6%) 모두 국내 시중은행보다 배당 규모가 컸다. 그만큼 금융 당국의 권고를 따르려면 배당 규모를 대폭 축소해야 한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외국계 은행이라고 해서 당국의 가이드라인을 따르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bright@sedaily.com, 김지영 기자 jikim@sedaily.com


김광수 기자 bright@sedaily.com·김지영 기자 jik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