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인간 대체하는 AI…"직원은 창의적 업무를"

◆오라클 '돈과 기계' 보고서

공과금 납부·채권 부도위험 체크…

SK텔레콤 등 국내기업 도입 러시

"AI에 단순·반복 업무…

조수처럼 활용해야 생존

전문인력 수요는 더 늘어날 것"






SK텔레콤은 지난 2019년부터 전국 수만 개 통신 장비의 임차료·전기료 등 10만 건이 넘는 납부 데이터를 인공지능(AI) 자동화 솔루션이 처리한다. 고객상담센터 데이터를 분석해 직원들의 생일 등 기념일을 축하하거나 선물을 보내는 역할도 맡는다. 과거에는 직원들이 직접 했던 일이다. SK텔레콤 직원들이 단순 반복 노동에서 해방된 것은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 ‘콥봇’ 덕분이다. SK텔레콤은 직원들이 근무시간 중 30%를 e메일 확인, 자료 다운로드 등 정형적이고 반복적인 업무에 할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 콥봇을 개발해 도입했다. 데이터 추출이나 분석, 회계·재무·대량 문서 처리 등 반복 업무는 콥봇에 맡기고 직원들은 기획안·제안서를 만들거나 통계 자료를 분석하는 창의적인 일에 집중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최근 단순 반복 업무는 물론 재무·회계·인사·법무 등 다양한 지원 부서에도 빠르게 AI를 도입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AI 기술을 활용해 거래 채권의 부도 위험을 사전에 알려주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해 2018년 초부터 활용하고 있다. 채권의 부도 사례를 분석해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부도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관리하고 있다. 실제 이 시스템은 2018년 도입 당시 부도가 난 채권 가운데 65%를 사전에 예측했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자산 운용사들도 자산 운용에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하고 있다. IBK자산운용이 미국 금융 AI 기업인 켄쇼와 협업해 2018년 출시한 ‘IBK 켄쇼 4.0 레볼루션 펀드’는 올해에만 약 1,600억 원을 동원했다. 덕분에 지난 해 말 400억~500억 원 수준이었던 수탁액이 최근 2,000억 원대까지 불어났다. 최근 액티브 공모펀드에서 자금 유출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흥행이다. 이 펀드는 미국 증시에 상장한 전 세계 기업 중 4차 산업혁명 기여도가 높은 기업 130여 곳에 분산 투자한다. 투자 종목 선정에는 켄쇼의 AI 알고리즘이 들어간다. IBK자산운용 관계자는 “AI를 활용하면 인간 리서치, 펀드매니저만 있을 때보다 양적으로 훨씬 많은 종목과 변수를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오픈 AI가 지난해 6월 내놓은 3세대 언어 예측 모델인 GPT-3(AI를 이용해 텍스트 형태로 정보를 변환해주는 모델)가 대중화하면서 AI가 대체하는 업무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재무제표는 물론 회의록·코딩 작성까지 AI가 처리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현재 이 기술을 독점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경우 B2B 솔루션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인사 분야에서도 AI가 활약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7월 ‘AI 알고리즘 기반 인사 시스템’을 활용해 영업점 직원 인사 이동을 실시했다. 올해 초에는 점포장급 배치, 지역 간 이동까지 활용 폭을 넓혔다. AI 알고리즘 기반 인사 시스템은 직원의 업무 경력, 근무 기간, 자격증, 출퇴근 거리 등을 고려해 최적의 근무지를 선정한다.

AI가 인간의 업무를 대체하는 영역이 확대되면서 위기감도 생기고 있지만 오히려 새로운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는 2017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상당수 인력이 자동화되겠지만 의료 서비스 제공자, 엔지니어, 과학자, 데이터 분석가 등 전문가는 계속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늘어나는 직업군 수요가 일자리 규모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AI 전문가들도 이 같은 전망에 동의하면서 인간은 보다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AI가 잘하는 분야에서 사람이 직접 경쟁하겠다고 나서면 결국 일자리를 잃을 수밖에 없다”며 “AI를 조수로 부릴 수 있는 결정권을 지닌 고차원적인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는 “재무처럼 합리성과 최적화가 중요한 분야에서 AI의 인력 대체 가능성이 큰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AI를 관리하는 인력이 필요할 것이고 AI 도입으로 기존 인력 공급이 제한돼 있던 개인 자산 관리 등 시장이 확대돼 또 다른 인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혜진 기자 madein@sedaily.com, 오지현 기자 ohjh@sedaily.com, 심우일 기자 vita@sedaily.com


정혜진 기자 madein@sedaily.com·오지현 기자 ohjh@sedaily.com·심우일 기자 vit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