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300만 인구 자랑하던 인천시…인구 감소로 조직 축소 불가피

내국인 295만명 밑으로 떨어져…실·국 2개 축소 검토

인천시청 청사와 애뜰 전경./사진제공=인천시인천시청 청사와 애뜰 전경./사진제공=인천시




인구수를 기준으로 서울·부산에 이어 국내 3대 도시인 인천시가 최근 인구 감소로 시청 조직 축소가 불가피해졌다.



인천시는 작년 6월 인구수가 295만명 밑으로 내려간 뒤 반년 넘게 295만명 선을 회복하지 못함에 따라 상반기 중으로 시청 실·국·본부를 현재 17개에서 15개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보면 인천 인구수는 올해 1월 기준 294만 2,452 명으로, 작년 6월부터 8개월 연속 295만명에 미치지 못했다.

행정기구 설치 기준에서 인구 295만명 선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인구가 2년 연속 증가하고 295만명 이상일 땐, 인구 300만∼350만명 광역시와 같은 기준을 적용받아 시청에 실·국·본부를 13∼15개 둘 수 있다.

인천시는 인구 증가와 함께 2018년 1월에 내국인 인구 295만명을 넘기며 300만 도시 대우를 받게 됐다.

인천시는 여기에 시·도 조례로 기구 설치기준 상한의 20% 범위에서 실·국·본부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는 정원 기준 규정을 적용하며 조직을 더욱 확대했다.



시는 2019년 8월 정책기획관실을 상시기구로 전환하고, 주택녹지국과 건강체육국을 신설하며 17개 실·국·본부의 현 조직체계를 갖췄다.

관련기사



그러나 인구 감소로 295만명 선이 붕괴 됨에 따라 불과 1년 반 만에 실·국·본부 통폐합 등 조직을 축소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인천시의 조직 축소는 행정 서비스의 질 하락과 전문성 저하로 이어져 시민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최근 페이스북에서 “현재 인천 인구가 ‘295만명 이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정도로 줄어 행정조직까지 축소해야 하는 실정”이라며 “군·구별 인구 추이 자료를 면밀히 분석해 인구가 다시 증가할 전망이라면 해당 자료를 토대로 행안부와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에서는 수년 전까지만 해도 송도·영종·청라 등 경제자유구역 개발에 따른 도시 확장으로 인구가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2016년 10월에는 내국인 294만 1,405명, 외국인 5만 8,608명 등 300만13명을 기록하며 외국인을 포함해 300만명을 돌파했다.

인천시는 당시 1980년 부산에 이어 36년 만에 국내에서 300만 도시가 탄생했다며 대대적으로 자축 행사를 열기도 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일자리 감소로 인구 유출이 발생한데다 출산율 감소까지 겹치며 인천 인구도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2035년에는 인천 인구가 318만명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자체 연구 결과도 있기 때문에 현재 인구 감소는 일시적이라고 보고 있다”며 “다만 규정상 295만명을 유지 못 하면 시 조직을 축소해야 돼 현재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인 조직개편 방안을 찾고있다”고 설명했다.

/인천=장현일 기자 hichang@sedaily.com


인천=장현일 기자 hichang@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