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를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가 자신의 주장이 잘못됐다는 점을 인정했다고 석지영 하버드대 로스쿨 종신교수가 26일(현지 시간) 밝혔다. 역사 왜곡이라는 비판에도 주장을 굽히지 않았던 램지어 교수가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집요하게 추궁한 역사학자들에게 결국 백기를 든 것이다.
석 교수는 이날 미 시사 주간지 뉴요커에 실린 ‘위안부 이야기의 진실을 찾아서’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석 교수에 따르면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 ‘태평양 전쟁의 성매매 계약’에 거론되는 열 살 일본 소녀의 사례와 관련해 역사학자들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하자 “어쩌다 이렇게 됐는지 모르겠는데 내가 실수했다”고 인정했다.
램지어 교수는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가 매춘 계약을 맺었다는 계약서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시인했다. 석 교수는 램지어 교수가 한국·일본 등에서 자신의 지지자들이 누구인지 확인하려 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램지어 교수는 ‘태평양 전쟁의 성매매 계약’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자신의 의지로 계약을 맺고 일하면서 돈을 벌었으며 원하면 일을 그만둘 수도 있었던 것처럼 묘사했다.
그는 “일본 정부가 여성에게 매춘을 강요하지 않았으며 일본군이 매춘부 모집 업자와 협력한 것도 사실이 아니다”라며 “군대를 따라다니는 매춘부들은 전쟁의 위험 때문에 일반 매춘부보다 돈을 더 많이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 이후 미국은 물론 일본 학계에서도 이를 반박하는 목소리가 잇따라 나왔다. 게임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에릭 매스킨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는 학계 인사를 대상으로 한 램지어 교수 비판 연판장에 서명했으며 에이미 스탠리 미 노스웨스턴대 교수 등 5명의 일본사 연구자는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실릴 국제법경제리뷰(IRLE)의 에릭 헬런드 편집장에게 2차 공개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일본 연구자들도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일본의 근대 공창 제도와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연구해온 오노자와 아카네 릿쿄대 교수는 램지어의 논문이 일본의 예창기 계약과 관련해 당시 여성들이 처한 사회적 여건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박성규 기자 exculpate2@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