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세청·금융위 직원까지... 警, 770명 메머드급 'LH 수사 합수본' 구성

뒤늦은 압수수색 지적에 “법원 주말에 쉬어, 경찰 느려터졌다 동의 어려워"

첩보 확인해 내사 중...피의자 현재 15명에서 더 늘어날 것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의 신도시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지난 9일 오후 경남 진주시 충무공동 LH 본사에서 압수수색 종료 후 압수품을 차량으로 옮기고 있다. /진주=연합뉴스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의 신도시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지난 9일 오후 경남 진주시 충무공동 LH 본사에서 압수수색 종료 후 압수품을 차량으로 옮기고 있다. /진주=연합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등의 3기 신도시 투기 의혹을 수사하는 경찰이 770명 규모에 달하는 매머드급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합수본)'를 구성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 고위 관계자는 10일 기자들과 만나 “정세균 국무총리 지시에 따라 합수본을 구성했다”며 “각 시도경찰청 수사 인력 680명과 경찰청 국수본·국세청·금융위 직원 등 총 770명 정도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의 지시 전 이번 사건을 수사하기 위한 국수본 특별수사단은 70여명 규모였다. 수사단 규모가 10배로 커진 것이다. 합수본에 파견되는 기관별 인력은 국세청 약 20명, 금융위 5∼6명, 국토교통부 산하 투기분석원 5∼6명 등이다.

관련기사



합수본에는 이번 사건을 맡은 3기 신도시 관장 경기남부·경기북부·인천 등 3개 시도경찰청 외에 15개 시도경찰청 소속 경찰관도 포함된다. 합수본 수사는 남구준 국수본부장이 총괄한다.

이 관계자는 “3기 신도시 뿐만 아니라 자치 단체에서 자체 개발하는 도로, 철도 주변 등 부동산 개발관련 투기 의혹을 전방위적으로 들여다 보기 위해 15개 시도경찰청도 포함됐다”며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임직원이 내부정보를 부정하게 이용한 행위, 전국 각지에서 개발 예정인 농지 부정 취득, 보상이익을 노린 부동산 투기행위 등을 수사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국수본 고위 관계자는 LH에 대한 압수수색 등 경찰의 강제수사가 너무 늦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동의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그는 “관련 의혹이 폭로된 게 지난 2일로, 이튿날 고발인을 조사해 5일 오후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해 검찰이 바로 청구했다”며 “법원이 주말에 쉬어 8일 영장이 발부돼 (9일) 집행한 것으로, 경찰이 느려터졌고 하는데 동의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검찰과도 유기적으로 협조를 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이 사건의 피의자는 LH 현직 직원 13명과 전직 직원 2명 등 15명이지만 수사 결과에 따라 대폭 늘어날 수도 있다. 이 관계자는 “지금 이 시각에도 첩보를 확인 중으로 내사하는 사안은 분명히 있다”며 “시작한 지 일주일도 안 돼 앞으로 취급하는 숫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한동훈 기자 hooni@sedaily.com


한동훈 기자 hoon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